제주시 지역 오름 요약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찾아가는길 |
칡오름 칠오름 |
葛岳 七岳 |
봉개동 |
제주시 봉개동 -> 동부산업도로방면 -> 명도암마을진입 도로변 |
노루오름 노리손이 |
獐岳 |
봉개동 |
제주시 봉개동 -> 명도암마을 -> 절물휴양림방면 1.5Km |
절물오름 대나오름 |
寺岳 丹霞岳 |
봉개동 |
절물휴양림내에 위치 |
개월오름 |
犬月岳 |
봉개동 |
516도로변(11번국도) 제주시 -> 마방목지 지난후 왼쪽 중계탑있는오름 |
명도오름 |
明道岳 |
봉개동 |
제주시 봉개동 -> 절물휴양림 방면 -> 명도암 바로옆에 위치 |
거문오름 |
巨門岳 |
연동 |
1100도로(99번국도) -> 천마목장을지나 동쪽으로 2Km지점 ->어승생전 |
민오름 |
敏岳 |
연동 |
신제주 로타리 -> 정실마을 도로변에서 동쪽으로 100m에 위치 |
남조순오름 |
南朝峰 木密岳 |
연동 |
신제주 로타리 -> 1km 남쪽 (민오름 바로옆에위치) |
광이오름 |
肝列岳 |
연동 |
남조순 오름에서 500M 남서쪽위치 (남조순오름과함께 한라수목원형성) |
명통악 상여오름 |
念通岳 |
연동 |
광이오름 남서쪽으로 연결되어 위치 |
노루생이 노리오름 |
獐孫岳 |
연동 |
1117번도로에 위치 천마목장 남동쪽 2Km |
열안지오름 |
列雁旨岳 |
오라동 |
1117번도로 관음사에서 3Km 과학고등학교 정면에위치 |
능화오름 |
菱花岳 |
오라동 |
한라산내 개미목으로 탐라계곡 건너편 남서쪽에 위치 |
어승생오름 |
御乘生岳 |
해안동 |
1100도로변 (99번국도) -> 어리목 등산코스 입구에서 길을 따라 1km |
족은드레오름 |
小斗星峰 |
노형동 |
어리목 산장 -> 해발 1.000m에 위치한 남쪽으로 등산로와 연결된오름 |
큰드레오름 |
頭星峰 |
오라동 |
어리목 산장 -> 남동쪽에 큰 산체를 가진 오름 |
장구목 |
長項 |
오라동 |
웃세오름 대피소 -> 동북쪽으로 3km에 남북으로 연결되어 위치 |
골머리오름 |
洞山 |
노형동 |
1100도로(99번국도) -> 천왕사 진입로 주차장에서 숲길따라 위치 |
걸시오름 걸세오름 |
傑豕岳 |
연동 |
천왕산 입구-> 3km 정도에 북동쪽 제주시 공설묘지가 내려다 보이는 산록도로변에 위치 |
오드싱오름 오두싱이 |
梧等峰 |
오등동 |
정실마을 -> 농촌시험장에서 북동쪽으로 약 200m 지점에 위치 |
소산오름 |
宵山岳 |
아라동 |
516도로 (11번국도) 산천단에 위치 , 곰솔 |
삼의양오름 |
三義壤 |
아라동 |
516도로 (11번국도) 제주의료원 맞은편에 위치 |
태역장오름 |
草長兀 |
봉개동 |
516도로 (11번국도) -> 물장오리과 연이어 동쪽에 사다리꼴로 보이는 오름 |
쌀손장오리 |
射長兀 |
봉개동아라동 |
물장오리 남서쪽 계곡과 숲을 지나 3km에 위치 |
불칸디오름 불칸데오름 |
火長兀 |
월평동 |
물장오리 남쪽에서 1km 정도에 위치한 오름 |
물장오리 |
水長兀 |
봉개동 아라동 |
516도로(11번국도) -> 장올교 서쪽 숲길로 조릿대 분포지대 지나 5km 정도에 위치 |
별도봉 베리오름 |
別刀峰 |
화북동 |
오현고등학교 북쪽으로 100m 정도에 위치, 사라봉과 같은능선 |
사라봉 |
絲羅烽 |
건입동 |
제주항 동쪽 , 봉수대원당사가 있는 오름조림,공원지구 |
원당오름 |
元堂烽 |
삼양동 |
삼양1동 일주도로변에서 동북쪽으로 5km에 남북으로 길게위치(삼양봉) |
봉개오름 붉은오름 |
奉蓋岳 |
봉개동 |
제주시 봉개동 -> 대기고등학교 근처 |
도들오름 |
道頭烽 |
도두동 |
제주 국제공항 북서쪽으로 1km정도 용두암 해안 도로변 바닷가에 위치 |
개새끼오름 가사오름 |
加沙峰 |
오라동 |
제주시 오라동 연미마을 북서쪽으로 500m 위치한 오름(MBC방송국동쪽) |
권재오름 |
權在岳 |
아라동 |
제주대학교와 교수아파트 입구에서 도로를 따라 1km 정도 남쪽에 위치 |
들레오름 |
月下岳 |
아라동 |
제주 공업고등학교 북쪽으로 100m 정도에 동서로 길게 위치 |
방일봉 |
方日峰 |
노형동 |
상수도 관리사무소가 위치한 서남쪽에 위치 |
누운오름 |
臥岳 |
노형동 |
원산마을에서 남동쪽으로 1.5km 정도에 위치 | |
|
|
애월읍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검은덕오름 |
今德峰 |
소길리 |
402m |
52m |
원추형 |
신성시한 오름 |
수림 |
고내봉 |
高內烽 |
고내리 상가리 |
175m |
135m |
복합형 |
고내리 설촌에서 유래된 오름 |
수림 |
천아오름 |
天娥岳 |
광령리 |
797m |
87m |
말굽형 |
삼나무가 많이 분포된 오름 |
수림 |
산새미오름 |
三神山 |
고성리 금덕리 |
652m |
112m |
원추형 |
물이 분화구 안에 존재 |
수림,초지 |
삼형제오름 |
三兄弟岳 |
금덕리 장전리 |
1143m |
118m |
말굽형 |
삼형재가 모여 있는 오름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물메오름 |
水山烽 |
수산리 |
122m |
92m |
원추형 |
불교적 의미의 오름 |
조림,공원 |
이스렁오름 |
川佛峰 |
광령리 |
1353m |
73m |
원추형 |
불교적 의미의 오름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쳇망오름 |
天望岳 |
광령리 |
1355m |
55m |
말굽형 |
챗바퀴형태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사제비오름 |
鳥接岳 |
광령리 |
1424m |
49m |
말굽형 |
새미모양, 제비가 죽어 있는 형태 |
한라산 국립공원 초지 |
웃세족은오름 |
上小岳 |
광령리 |
1699m |
64m |
원추형 |
한라산 정상 밑에 있는 세오름 |
한라산 국립공원 고산식물 |
웃세누운오름 |
上臥岳 |
광령리 |
1711m |
71m |
원추형 |
한라산 정상 밑에 있는 세오름 |
한라산 국립공원 고산식물 |
웃세붉은오름 |
上赤岳 |
광령리 |
1740m |
75m |
원추형 |
한라산 정상 밑에 있는 세오름 |
한라산 국립공원 고산식물 |
붉은오름 |
赤岳 |
광령리 |
1061m |
136m |
말굽형 |
삼별초의 최후 향전지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노로오름 |
獐岳 |
유수암리 |
1070m |
105m |
복합형 |
노루가 많이 서식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한대오름 |
漢岱岳 |
봉성리 어도리 |
921m |
36m |
원추형 |
차가운 습지가 있음 |
수림,초지 |
어도오름 도노미 |
於道烽 |
봉성리 |
143m |
73m |
말굽형 |
도래떡,도래방석 모양 |
조림,과수원 |
과오름 곽오름 |
郭岳 |
곽지리 |
155m |
85m |
말굽형 |
성냥갑 모양, 소가누운 형국 |
조림,초지 |
녹고메큰오름 |
鹿高大岳 |
소길리 |
834m |
234m |
말굽형 |
사슴이 물먹는 모양, 개가 엎드린 형태 |
수림,초지 |
녹고메작은오름 |
鹿高小岳 |
유수암리 |
774m |
124m |
말굽형 |
사슴이 물먹는 모양, 개가 엎드린 형태 |
수림,초지 |
괴오름 괴미오름 |
描岳 |
봉성리 |
653m |
103m |
말굽형 |
뿔이 달린 괴물모양, 고양이가 구부린 형태 |
조림,초지 |
폭낭오름 |
彭岳 |
봉성리 |
646m |
76m |
복합형 |
팽나무가 식생 |
초지 |
다래오름 |
多栗岳 |
봉성리 |
697m |
87m |
말굽형 |
다래나무 식생 |
수림,초지 |
빈네오름 |
簪岳,叉岳 |
어도리 |
659m |
93m |
말굽형 |
비녀를 꽂은 모양 |
초지 |
바리메 바리오름 |
發伊岳 鉢岳 |
어음리 |
763m |
213m |
원형 |
밥그릇 모양 |
초지 |
이달오름 |
二達峰 |
봉성리 |
489m |
119m |
원추형 |
여성의 유방, 쌍오름 |
초지,수림 |
누운오름 |
臥岳 |
장전리 |
128m |
13m |
말굽형 |
소가 옆으로 누운 모양 |
초지 |
새별오름 샛별오름 |
曉星岳 |
봉성리 |
519m |
119m |
복합형 |
샛별 모양 |
조림,초지 |
극락오름 |
極樂岳 |
고성리 |
314m |
64m |
말굽형 |
극락사라는 절이 있음 |
초지,조림 |
바굼지오름 파군봉 |
破軍烽 |
하귀리 |
85m |
50m |
원추형 |
바구니 형태 |
조림 | |
|
|
한림읍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문도지오름 |
文道岳 |
금악리 |
260m |
55m |
말굽형 |
돼지가 누워 있는 형태 |
수림,초지 |
느지리오름 |
晩早岳 |
상명리 |
225m |
85m |
복합형 |
해돋이를 늦게 볼수 있는 오름 |
초지 |
갯거리오름 |
拘尾岳 |
명월리 |
254m |
69m |
말굽형 |
두 마리 개가 꼬리를 S자형태로 누운 모양 |
수림,초지 |
정월오름 |
明岳 |
금릉리 |
106m |
56m |
말굽형 |
보름달 모양 |
수림,초지 |
금오름 |
琴岳 |
금악리 |
428m |
178m |
화구호 |
선녀가거문고를타는 형국 |
수림 |
누운오름 |
臥岳 |
금악리 |
407m |
57m |
복합형 |
소가 누워 있는 형태 |
초지,수림 |
정물오름 |
井水岳 |
금악리 |
466m |
151m |
복합형 |
안경 샘이 존재 |
초지,수림 |
도너리오름 골체오름 |
道乙岳 |
동명리 |
440m |
110m |
복합형 |
삼태기 원형 모양 |
초지,수림 |
밝은오름 |
明岳 |
상명리 |
183m |
43m |
원추형 |
月모양 |
초지,수림 |
밝은오름 |
明岳 |
명월리 |
149m |
39m |
말굽형 |
月모양 |
초지 |
밝은오름 |
明岳 |
금악리 |
380m |
15m |
말굽형 |
月모양 |
초지 |
비양봉 |
飛揚峰 |
협재리 |
114m |
104m |
복합형 |
3가지 골짜기가 갈라진 모양 |
수림,초지 |
삼뫼소오름 |
泉味岳 |
금악리 |
375m |
30m |
원형 |
샘이 있는 오름 |
초지 |
천아오름 초낭오름 |
天我岳 |
상대리 |
134m |
49m |
말굽형 |
참나무가많이식생 |
수림,초지 | |
|
|
한경면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당오름 |
堂山峰 |
고산리 |
148m |
118m |
말굽형 봉수대 |
지귀당이 있는 오름 |
수림,초지 |
널개오름 |
板浦岳 |
판포리 |
93m |
58m |
말굽형 봉수대 |
널판이 놓인 모양,소가 누운 형국 |
조림,초지 |
녹고물오름 |
水月峰 |
고산리 |
78m |
73m |
원추형 |
벼랑에 물이 내리는 모양, 반달 형태 |
수림,초지 |
가마오름 |
釜岳 |
청수리 |
146m |
51m |
원추형 |
가마솥 형태 |
조림과 초지 |
새신오름 |
鳥巢岳 |
청수리 |
141m |
41m |
말굽형 |
새가 많이 서식하는 오름 |
초지 |
구분오름 |
拘奔岳 |
조수리 |
96m |
26m |
복합형 |
개가 달아나는 형태, 오름이 굽어 있는 형국 |
초지와 수림 |
저지오름 |
楮旨岳 |
저지리 |
239m |
104m |
원형 |
새주등이 형태, 닥나무가 많이 식생 |
수림 |
마종이오름 |
馬中岳 |
저지리 |
169m |
44m |
원추형 |
말의 안장 모양 |
초지 |
송아오름 |
松岳 |
저지리 |
104m |
30m |
복합형 |
소나무가 많이 분포 |
수림 |
이계오름 |
二鷄岳 |
저지리 |
168m |
38m |
복합형 |
닭모양 |
초지와 수림 | |
|
|
조천읍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알밤오름 |
下栗岳 |
선흘리 |
394m |
154m |
말굽형 |
밤알 모양 |
조림과 초지 |
웃밤오름 |
上慄岳 |
선흘리 |
417m |
137m |
말굽형 |
밤알 모양 |
조림과 초지 |
산굼부리 |
山穴 山凹 |
교래리 |
437m |
32m |
원형 |
살아있는 굼부리나 짐승의 주둥이 |
자연림 |
민오름 |
敏岳 禿岳 |
선흘리 |
518m |
118m |
말굽형 |
민대가리 모양, 무녀의 고깔형태 |
초지와 수림 |
방애오름 |
臼岳 |
교래리 |
453m |
48m |
복합형 |
방아모양 |
초지와 수림 |
부대오름 |
夫大岳 |
선흘리 |
469m |
109m |
말굽형 |
쌀자루 모양 |
초지와 수림 |
지그리오름 |
織峰 之基里岳 |
교래리 |
589m |
158m |
말굽형 |
섬유같이 여러갈래로 엇갈린 모양 |
초지와 수림 |
기시네오름 |
丁岳 |
와흘리 |
237m |
47m |
원추형 |
구그네. 고무래 모양 |
조림, 밭 |
당오름 |
堂岳 |
와산리 |
306m |
56m |
말굽형 |
신당이 존재하고 있는 오름 |
수림, 밭 |
우진제비 |
雨鎭岳 |
선흘리 |
411m |
126m |
말굽형 |
제비가 날개를 접는 형태 |
수림, 초지 |
바늘오름 |
針岳 |
와흘리 |
552m |
142m |
복합형 |
바늘 모양으로 가시덤불이 많이 식생 |
수림, 초지 |
꾀꼬리오름 |
鶯岳 |
대흘리 |
428m |
158m |
말굽형 |
꾀꼬리가 물을 먹는 형태 |
수림, 초지 |
까그래기 |
可極里岳 |
교래리 |
429m |
49m |
말굽형 |
보리수염인 까끄래기 모양 |
수림, 초지 |
돔배오름 |
丁岳 |
교래리 |
466m |
36m |
원형 |
도마모양 |
수림, 초지 |
부소오름 |
夫小岳 |
선흘리 |
469m |
129m |
말굽형 |
임금의 사모 모양 |
수림, 초지 |
흙붉은오름 |
土赤岳 |
아라동 |
1381m |
146m |
말굽형 |
산등선이에 붉은 흙이 있음 |
한라산국립공원 |
서거문오름 |
西黑岳 |
선흘리 |
457m |
112m |
말굽형 |
신성시하는 오름 |
수림 |
새미오름 |
泉味岳 |
대흘리 |
421m |
126m |
말굽형 |
오름중턱에 샘이존재함 |
조림 |
대천이오름 |
大川岳 |
교래리 |
447m |
67m |
말굽형 |
대천동에 川이 흐르고 있음 |
수림, 초지 |
늡서리오름 |
晩霜岳 |
교래리 |
489m |
59m |
말굽형 |
늦게 서리가 내리는 오름 |
수림 |
서모오름 |
犀牛烽 |
함덕리 |
111m |
106m |
우추형 |
코뿔소 모양 |
조림,초지,밭 |
구두리오름 |
拘頭岳 |
가시리 |
517m |
117m |
말굽형 |
개머리 모양 |
수림 |
거문오름 물찻오름 |
黑岳 |
교래리 |
717m |
167m |
원형 |
숲으로 검게 보이는 형태 |
수림 |
사라오름 |
絲羅岳 |
신예리 |
1325m |
150m |
원형 |
불교적 의미, 신성시한 오름 |
한라산국립공원 |
어후오름 |
御後岳 |
교래리 |
1017m |
116m |
원추형 |
두 봉우리가 어우러진 모양 |
한라산국립공원 | |
|
|
구좌읍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둔지오름 |
屯地岳 |
한동리 |
282m |
152m |
말굽형 |
무덤이 많이 있음, 관청의 토지가 있던 오름 |
조림과 초지 |
동거미오름 |
東黑岳 |
송당리 |
340m |
115m |
말굽형 |
거미 모양 |
수림과 초지 |
다랑쉬 |
大多郞秀 |
세화리 |
382m |
127m |
원형 |
보름당 모양, 높은 산 |
초지 |
용눈이오름 |
龍臥岳 |
종달리 |
248m |
88m |
원추형 |
용이 누워 있는 형태 |
초지 |
손지오름 |
孫子峰 |
종달리 |
256m |
76m |
원추형 |
한라산 축소 모양 |
초지 |
은월봉 |
隱月峰 |
종달리 |
180m |
75m |
말굽형 |
月이 숨어 있는 모양, 들판에 외롭게 누워 있는 형태 |
초지 |
이대오름 |
御帶岳 |
덕천리 |
211m |
55m |
말굽형 |
고기 등허리 모양 |
조리과 밭 |
주체오름 |
朱土岳 |
덕천리 |
221m |
35m |
원추형 |
흙이 붉은 모양 |
수림과 밭 |
당오름 |
堂岳 |
송당리 |
274m |
69m |
말굽형 |
산중턱에 *이 있음 |
수림 |
아친오름 |
坐置岳 |
송당리 |
192m |
22m |
말굽형 |
두다리를 벌리고 앉아 있는 모양 |
초지와 조림 |
뒤꾸분이 |
後曲岳 |
송당리 |
252m |
52m |
말굽형 |
뒤쪽으로 구부러진 모양 |
초지 |
체오름 |
箕岳 體岳 |
송당리 |
382m |
117m |
말굽형 |
삼태기 모양 |
초지와 조림 |
거친오름 |
巨體岳 荒岳 |
송당리 |
355m |
70m |
복합형 |
두 오름의 갈라진 형태 |
초지 |
칡오름 |
葛岳 |
송당리 |
304m |
49m |
원추형 |
거루배를 엎은 모양, 칡이 많이 식생 |
초지 |
아부오름 |
亞夫岳 |
송당리 |
301m |
51m |
타원형 |
당오름 앞에 있는 오름 |
수림과 초지 |
선족이오름 |
先足伊岳 |
송당리 |
307m |
32m |
원추형 |
송당리 길목에 위치한 오름 |
수림과 초지 |
안돌오름 |
內石岳 |
송당리 |
368m |
93m |
복합형 |
오름안쪽에 돌이 있는 모양 |
초지 |
밭돌오름 |
外石岳 |
송당리 |
353m |
103m |
말굽형 |
오름밖에 돌이 있는 모양 |
초지와수림 |
북오름 |
北岳 |
덕천리 |
305m |
86m |
말굽형 |
둥근 북 모양 |
초지 |
식은이오름 |
上大近岳 |
덕천리 |
286m |
45m |
말굽형 |
지맥이 식은 오름 |
초지와 수림 |
돌오름 |
狙岳 |
송당리 |
284m |
129m |
복합형 |
돼지 모양 |
수림 |
민오름 |
民岳 |
송당리 |
362m |
102m |
말굽형 |
둥글고 민밋한 모양 |
조치 |
묘산오름 |
猫岳 |
김녕리 |
116m |
81m |
말굽형 |
고양이이 등이 굽은 모양 |
수림과 밭 |
거슨새미오름 |
逆泉岳 |
송당리 |
380m |
125m |
말굽형 |
샘물이 한라산으로 흐르는 |
수림 |
지미봉 |
地尾烽 |
종달리 |
165m |
160m |
말굽형 |
제주도 땅끝의 봉우리 |
초지와 조림 |
삿갓오름 |
笠山峰 |
김녕리 |
85m |
65m |
원추형 |
삿갓모양 |
수림 |
성불오름 |
成佛岳 |
송당리 |
362m |
97m |
말굽형 |
중이 염불하는 모양 |
초지와 수림 |
가문이오름 |
加文岳 |
송당리 |
317m |
55m |
말굽형 |
중이 문 앞에 엎드린 모양 |
초지 |
비치미 |
飛雉岳 |
송당리 |
344m |
109m |
말굽형 |
꿩이 날아가는 모양 |
초지 |
돌린미 |
石額岳 |
송당리 |
312m |
82m |
원형 |
오름등성이가 돌려진 형태 |
초지 |
높은오름 |
高岳 |
송당리 |
405m |
175m |
말굽형 |
구좌읍에서 비고가 높은 오름 |
초지와 수림 |
쇠머리오름 |
牛頭峰 |
우도면 |
133m |
128m |
복합형 |
소의 머리 형태 |
초지와 수림 | |
|
|
서귀포시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절오름 |
寺岳 貯節岳 |
보목동 |
95m |
85m |
원추형 |
절지기가 살던장소 낟가리 쌓은 오름 |
수림 |
칡오름 |
葛岳 |
상효동 |
271m |
96m |
원형 |
칡이 많이 식생 |
수림 |
영천오름 |
靈泉岳 |
상효동 |
277m |
97m |
말굽형 |
영천샘물이 있음 |
수림 |
고근산 |
高根山 |
서호동 |
396m |
171m |
원형 |
범섬 근처에 있는 산, 산세가 외로운 형태 |
초지, 조림 |
우보악 |
牛步岳 |
색달동 |
301m |
96m |
말굽형 |
소가 걸어 가는 모양 |
수림, 초지 |
더데오름 |
加加岳 |
상예동 |
228m |
48m |
말굽형 |
오름이 중첩된 형태 |
수림, 초지 |
구산망 |
拘山望 |
하원동 |
174m |
69m |
방굼형 |
개가 구부려 모로누운 형태 |
수림 |
활궁악 |
弓岳 |
강정동 |
187m |
37m |
말굽형 |
활 형태 |
수림, 과수원 |
오백나한 영실오름 |
靈實岳 |
하원동 |
1639m |
389m |
복합형 |
신선이 사는 골짜기 |
한라산국립공원 |
불래오름 |
佛來岳 |
하원동 |
1374m |
104m |
말굽형 |
존자암이 있는 오름, 부처가 있는 오름 |
한라산국립공원 |
법정이오름 |
法井岳 |
하원동 |
760m |
90m |
원추형 |
법정사가 있는 오름 |
한라산국립공원 |
거린사슴 |
亞鹿岳 貯岳 |
대포동 |
743m |
103m |
말굽형 |
사슴이 뛰는 모양, 오름이 갈라진 형태 |
수림 |
모라이 모라지 |
帽羅伊岳 |
색달동 |
511m |
66m |
원추형 |
모자에 띠를 두른 형태, 탕건모양 |
수림, 초지 |
녹하지오름 |
鹿下旨岳 |
중문동 |
621m |
121m |
원추형 |
사슴이 내려와 놀던 오름 |
초지, 수림 |
웃방에오름 |
上硏岳 |
동흥동 |
1748m |
73m |
원추형 |
방아 형태 |
한라산국립공원 |
아래방아오름 |
下硏岳 |
동흥동 |
1585m |
85m |
원추형 |
방아 형태 |
한라산국립공원 |
방애오름 |
硏岳 |
동흥동 |
1700m |
129m |
말굽형 |
방아 형태 |
한라산국립공원 |
시오름 |
雄岳 |
서호동 |
758m |
118m |
원추형 |
남성의 성기 형태 |
수림 |
도라미 월라산 |
月羅山 |
신효동 |
118m |
63m |
복합형 |
높은 산, 보름달 모양 |
수림 |
미악산 쌀오름 |
米岳 |
동흥동 |
568m |
113m |
말굽형 |
쌀을 쌓은 형태 |
초지, 수림 |
베릿네오름 |
星川岳 |
중문동 |
101m |
61m |
말굽형 |
은하수가 흐르는 모양 |
수림 |
삼매봉 사미봉 |
三梅烽 |
서흥동 |
154m |
104m |
복합형 |
3개의 매화가 둘러싼 모양 |
수림, 초지 |
각시바위오름 |
角秀岳 |
호근동 |
395m |
140m |
원추형 |
학이 날개를 펴서 앉은 형태 |
암석, 수림 | |
|
|
대정읍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돈두미오름 |
敦頭岳 |
영락리 |
42m |
22m |
원추형 |
밥상과 같은 모양 |
조림 |
녹남오름 녹남봉 |
杖木岳 |
신도리 |
100m |
50m |
원형 |
늑나무가 맣아 식생 |
조림 |
모슬봉 |
慕瑟峰 |
상모리 |
181m |
131m |
원추형 봉수대 |
거문고 모양, 학이 날개를 펴고 앉은 모양 |
초지 |
송악산 |
松岳山 |
상모리 |
104m |
99m |
이중화산복합형 |
파도가 해안에 부딪쳐 우는 모양 |
초지 |
보름이오름 |
望岳 |
무릉리 |
49m |
14m |
원추형 |
보름달을 볼 수 있는 오름 |
초지 |
가시오름 |
加時岳 |
동일리 |
107m |
77m |
말굽형 |
가시나무가 많이 식생 |
수림 | |
|
|
안덕면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다래오름 월라산 |
月羅山 |
감산리 |
201m |
101m |
복합형 |
달이 떠오르는 모양 |
수림 |
어오름 |
御竝岳 |
상천리 |
638m |
38m |
원추형 |
두 봉우리가 어우러진 모양 |
수림,초지 |
하늬보기 |
北福岳 |
상천리 |
592m |
42m |
원추형 |
복풍을 맞는 오름 |
초지 |
마보기 |
南福岳 |
상천리 |
560m |
45m |
원추형 |
하늬보기와 마주보는 오름 |
초지 |
영아리오름 |
靈阿里岳 |
상천리 |
693m |
93m |
말굽형 |
신성스런 오름 |
초지 |
족은대비오름 |
朝近大比岳 |
광평리 |
541m |
71m |
복합형 |
선녀가 내려와 놀던 오름 |
초지 |
개오름 |
戌岳 |
동광리 |
496m |
126m |
말굽형 |
개가 누워 있는 형태 |
초지 |
골른오름 |
竝岳 |
상창리 |
492m |
132m |
말굽형 |
쌍둥이 모양, 여자의 유방형태 |
초지 |
당오름 |
堂岳 |
동광리 |
473m |
118m |
원형 |
당이 존재함, 신성시한 오름 |
수림, 초지 |
남송악 |
南松岳 |
서광리 |
339m |
139m |
복합형 |
가시나무가 많이 식생 |
수림, 초지 |
괴수치오름 |
高秀峙岳 |
광평리 |
559m |
59m |
원형 |
두 오름 사이에 대치한 모양 |
조림, 초지 |
원물오름 |
院水岳 |
동광리 |
459m |
98m |
말굽형 |
원물샘이 있음 |
초지 |
돔박이오름 |
冬柏岳 |
광평리 |
521m |
51m |
말굽형 |
동백나무가 많이 식생 |
초지 |
왕이메 |
王伊岳 |
상천리 |
621m |
92m |
복합형 |
삼신왕이 기도한 오름 |
초지 |
돌오름 |
乭岳 |
광평리 |
866m |
71m |
원형 |
돌이 많이 분포 |
수림 |
이돈이오름 |
二敦岳 |
광평리 |
663m |
68m |
말굽형 |
고개 등에 두 뿔 달린 괴물 형태 |
수림, 초지 |
거린오름 |
岳 |
동광리 |
298m |
68m |
원추형 |
두 갈래 길로 갈라진 모양 |
수림, 초지 |
넙게오름 |
廣蟹岳 |
서광리 |
247m |
62m |
말굽형 |
넓적한 게모양 |
수림, 초지 |
논오름 |
論岳 |
화순리 |
186m |
56m |
말굽형 |
논농사를 하는 오름 |
초지수림밭 |
신산오름 |
神仙岳 |
창천리 |
175m |
30m |
원추형 |
신성스런 오름 |
초지,밭 |
군산 |
軍山 |
대평리 |
335m |
280m |
원추형 |
군막을 쳐놓은 모양 |
초지,밭 |
단산 |
單山 |
사계리 |
158m |
113m |
원추형 |
박쥐모양, 바구니모양 |
초지,수림 |
산방산 |
山房山 |
사계리 |
395m |
345m |
원추형 |
투구모양 |
암석,수림 | |
|
|
남원읍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논고오름 |
論古岳 |
신례리 |
843m |
143m |
원형 |
선비가 학문을 논하던 장소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보리오름 |
保俚岳 |
신례리 |
740m |
130m |
원추형 |
보리낟알 모양 불교적의미 신성한 오름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마체오름 |
馬體岳 |
신례리 |
426m |
51m |
원추형 |
말의 몸체형태 |
한라산 국립공원 자연림 |
넙거리 |
廣御岳 |
한남리 |
437m |
102m |
말굽형 |
봉우리가 넙적한 모양 |
수림 |
사려니 |
四蓮岳 |
한남리 |
523m |
98m |
말굽형 |
사방으로 연결되는 오름의 중심을 의미함 |
수림 |
이승이오름 |
狸升岳 |
신례리 |
539m |
114m |
말굽형 |
살쾡이가 웅크린 모양 |
수림 |
동수악 |
東水岳 |
한남리 |
700m |
100m |
원형 분화구 |
동쪽에 물이 있는 오름 |
한라산국립공원 |
물오름 |
水岳 |
하례리 |
474m |
149m |
원추형 |
화구가 없는 마소의 휴식처 |
수림 |
성널오름 |
城板岳 |
신례리 |
1325m |
200m |
원추형 |
성벽을 쌓은 모양 |
한라산국립공원 |
사라오름 |
絲羅岳 |
신례리 |
1325m |
150m |
원형 |
불교적의미,신성한오름 |
한라산국립공원 |
물오름 |
水岳 |
수망리 |
839m |
114m |
말굽형 |
마소의 중간 휴식처 |
한라산국립공원 |
민오름 |
敏岳 |
수망리 |
447m |
97m |
말굽형 |
민자대머리 모양 |
수림, 초지 |
거린오름 |
岳 |
한남리 |
536m |
153m |
말굽형 |
오름이 교차되면서 갈라진 형태 |
수림 |
물영아리 |
水靈岳 |
수망리 |
508m |
128m |
원형 화구호 |
여인의 머리를 풀고 앉은 형태 |
수림, 습지식물 |
자배오름 |
資輩烽 |
위미리 |
211m |
111m |
원형 |
잣밤나무가 많이 분포 |
수림 |
걸세오름 |
傑瑞岳 |
하례리 |
158m |
48m |
원추형 |
걸쇠 모양 |
수림 |
예촌망 |
禮村望 |
하례리 |
68m |
63m |
원추형 |
해안을 볼 수 있는 오름 |
조림, 과수원 |
생기오름 |
生氣岳 |
신례리 |
260m |
65m |
말굽형 |
人자 모양으로 원기를 회복 하는 휴식처가 있는 오름 |
초지,과수원 |
고이오름 |
高伊岳 |
한남리 |
302m |
52m |
말굽형 |
고양이가 구부린 모양 |
수림,초지 |
넉시오름 |
魂師岳 |
의귀리 |
146m |
56m |
말굽형 |
넋이나간 소가 있는 오름 |
조림,과수원 |
쇠기오름 |
小技岳 |
수망리 |
178m |
33m |
원추형 |
송아지가 누운 모양 남자 성기형태 |
초지 |
여쪄리오름 |
如節岳 |
신흥리 |
210m |
50m |
말굽형 |
거북등 같은 모양 |
수림,초지 |
운지오름 |
雲旨岳 |
남원리 |
164m |
24m |
말굽형 |
오름 사면에 구름이 걸린모양 |
조림,과수원 | |
|
|
표선면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매오름 |
鷹岳 |
표선리 |
137m |
107m |
말굽형 |
매머리 모양 |
수림 |
좌보미 |
左甫岳 |
성읍리 |
342m |
112m |
복합형 |
9개별 모양 |
수림,초지 |
개오름 |
拘岳 |
성읍리 |
345m |
130m |
원추형 |
개가 하늘을 보는 모양 |
수림,초지 |
백약이오름 |
百藥岳 |
성읍리 |
357m |
132m |
원형 |
백가지 약초가 식생 |
수림,초지 |
영주산 |
瀛州山 |
성읍리 |
326m |
176m |
말굽형 |
신선이 있는 오름, 三神山 |
수림,초지 |
모지오름 |
母地岳 |
성읍리 |
306m |
86m |
말굽형 |
애기를 안은 어머니 모양 |
수림,초지 |
정자오름 |
長子岳 |
성읍리 |
216m |
31m |
원추형 |
모지오름 앞 큰아들격 |
초지 |
새끼오름 |
鄒岳 |
성읍리 |
301m |
31m |
말굽형 |
따라비의 손자격 |
수림,초지 |
따라비 |
地祖岳 多羅非 |
가시리 |
342m |
107m |
복합형 |
땅의 할아버지격 |
수림,초지 |
달산봉 |
脫山烽 |
하천리 |
137m |
87m |
말굽형 |
한라산에서 고립된 오름 |
조림 |
족은사스미 |
小鹿山 |
가시리 |
442m |
102m |
말굽형 |
작은 사슴 모양 |
수림,초지 |
큰사스미 |
大鹿山 |
가시리 |
475m |
125m |
원형 |
큰 사슴 모양 |
수림,초지 |
토산봉 |
兎山烽 |
토산리 |
175m |
75m |
복합형 |
토끼 모양 |
조림,초지 |
가세오름 |
袈絲岳 |
토산리 |
201m |
101m |
말굽형 |
가위 모양 |
수림 |
설오름 |
俎乙岳 |
가시리 |
238m |
98m |
말굽형 |
호미 모양 |
수림,초지 |
갑선이오름 |
甲蟬岳 |
가시리 |
188m |
83m |
말굽형 |
굼벵이 모양 |
수림 |
염통오름 |
念通岳 |
토산리 |
180m |
32m |
원추형 |
염통 모양 |
초지 |
월지봉 |
月旨峰 |
토산리 |
182m |
43m |
원추형 |
달(月) 모양 |
초지 |
병곳오름 |
餠歸岳 |
가시리 |
288m |
113m |
말굽형 |
병꽃풀이 많이 식생 |
초지 |
여문영아리 |
乾靈岳 |
가시리 |
514m |
134m |
말굽형 |
화구에 물이 없는 오름 |
수림,초지 |
번널오름 |
番板岳 |
가시리 |
272m |
62m |
말굽형 |
널판이 세워 놓은 모양 |
수림,초지 |
쇠오름 |
牛岳 |
토산리 |
162m |
42m |
말굽형 |
소가 누워 있는 모양 |
초지 |
쳇망오름 |
天望岳 |
가시리 |
445m |
55m |
원형 |
수레바퀴 모양 |
수림 | |
|
|
성산읍 지역 오름 요약 |
|
오름명 |
한자명 |
소재지 |
표고 |
비고 |
형태 |
오름의 어원과 유래 |
식생 |
식산봉 |
食山烽 |
오조리 |
60m |
55m |
원추형 |
보리 낟가리 모양 |
수림 |
성산 |
城山 |
성산리 |
179m |
174m |
원형 |
성을 둘러싼 모양 |
수림,초지 |
통오름 |
桶岳 |
남산리 |
143m |
43m |
말굽형 |
물통,밥통모양 |
수림,초지 |
독자봉 |
獨子烽 |
난산리 |
153m |
79m |
말굽형 |
새끼사자가 앉아 있는모양 |
수림,초지 |
모구리오름 |
母拘岳 |
난산리 |
232m |
82m |
말굽형 |
어미개가 옆으로 눈운 모양 |
조림,초지 |
본지오름 |
本地岳 |
삼달리 |
152m |
32m |
말굽형 |
노박덩쿨이 많이 식생 |
조림,초지 |
나사리오름 |
螺施岳 |
난산리 |
164m |
29m |
말굽형 |
소라 모양 |
초지 |
유건이오름 |
儒巾岳 |
난산리 |
190m |
75m |
원형 |
유생이 쓰는 유건 모양 |
수림,초지 |
남산봉 |
南山烽 |
신풍리 |
179m |
54m |
원형 |
정의현 남쪽에 위치 |
수림 |
왕미오름 대왕산 |
大王山 |
수산리 |
158m |
83m |
말굽형 |
풍수지리 산세가 王자 모양 |
수림 |
족은왕미 |
小王山 |
수산리 |
103m |
28m |
말굽형 |
왕미 근처에 작은산 |
수림,초지 |
낭끼오름 남거봉 |
南擧峰 |
수산리 |
185m |
40m |
원추형 |
하천이 멀리 떨어진오름 |
수림,초지 |
돌미 |
乭岳 |
수산리 |
186m |
26m |
원추형 |
돌이 많이 존재 |
암석,초지 |
궁대오름 |
弓袋岳 |
수산리 |
239m |
54m |
복합형 |
활모양 |
수림,초지 |
뒤굽은이 |
後曲岳 |
수산리 |
206m |
36m |
말굽형 |
뒤로구부러진모양 |
수림,초지 |
큰물뫼 |
大水山峰 |
고성리 |
137m |
97m |
원형 |
물이 많은 습지 |
수림 |
작은물뫼 |
小水山峰 |
고성리 |
53m |
38m |
원추형 |
물이 많은 습지 |
수림 |
말미오름 두산봉 |
斗山烽 |
시흥리 |
127m |
101m |
복합형 이중화산 |
말의 얼굴 모양 |
수림,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