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놀이 (4-2-15) - 감상 및 삼채장단 사물놀이 (4-2-15) - 감상 및 삼채장단 이 제재는 사물놀이의 감상을 통하여 장단의 다양한 변화와 그 흥겨움을 느끼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 사물놀이의 정간보 표기 방법과 풍물 장구의 바른 주법을 익혀 삼채의 기본 장단을 능숙하게 치도록 하고, 나아가 다양한 변화형을 만들어 쳐 봄으로써 민.. 가락보.감상문 2010.03.19
[스크랩] 북에 대한 알기 풍물악기 - 북 북은 풍물악기 중에 모양새나 소리로 보아 힘을 상징한다. 특히 요즈음 사회적 이슈를 부각시키고자 하는 행사장 풍물판에서는 투쟁적 형상을 북으로 가장 많이 표현하고 있는 것도 한시대의 조류가 되어있다. 북은 다양한 가락의 연주보다는 박을 힘있게 짚어 가면서 그 기상을 힘찬 .. 가락보.감상문 2008.12.13
전통한춤 종류 1. 태평무 이춤은 근세에 한성준의 안무로 만들어진 춤이다.왕(남)이나 왕비(여자) 가 화려한 의상을 입고 무속 장단위에 다양한 춤사위가 돋보이는 춤이다. 즉 왕이나 왕비의 의상은 존엄하고 엄숙한 분위기이지만 무속적인 장면이나 민속적이고 서민적인 분위기에 맞는 춤사위가 대비되어 독특한 멋.. 가락보.감상문 2008.10.01
우도판굿 /판굿의 짜임 우도판굿 작성 : 이승현 [판굿의 짜임] 호남 우도굿은 옛 전라 우도 지역, 즉 서울에서 내려다 볼 때 오른쪽에 해당되는 지역인 전라도 서부의 평야지역에 널리 전승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 치배의 짜임, 옷차림, 발림이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인 가락이나 내용은 서로 비슷하다. 이리 우.. 가락보.감상문 2007.04.04
진주난봉가 진주난봉가 울도 담도 없는 집에서 시집살이 삼 년만에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얘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 낭군 오실 터이니 진주 남강 빨래 가라 진주 남강 빨래 오니 산도 좋고 물도 좋아 우당탕탕 빨래하는데 난데없는 말굽 소리 고개 들어 힐끗 보니 하늘같은 갓을 쓰고 구름 같은 말을 타고서 못 본 .. 가락보.감상문 2007.04.01
[스크랩] 날뫼 북춤 가락보 비산풍물․날뫼북춤 ● 날뫼 북춤 연행과정 1. 질굿(어름굿) ① 마당 바깥에서 모여 휘모리를 힘차게 치고 맺는다. 휘모리 당 그 당 당 그 당 당 그 당 그 당 그 당 모 여 라 모 여 라 어 서 빨 리 모 여 라 ② 삼채를 치며 마당 안으로 들어와 원을 만들고 제자리 서면 맺는다. ③ 원 안을 보며 휘모.. 가락보.감상문 2007.02.20
전북 무형문화 제 7-2호 정읍꼬갈 소고춤 가락보 정읍 꼬갈 소고춤 가락보 장고 장단 삼채 장단 덩 덩 덩 더 궁 기닥 덩 덩궁 덩 더 궁 기닥 제자리 덩 구 궁기닥 구 궁기닥 더 궁 기닥 기닥 쿵따 쿵기닥 쿠 쿵기닥 터 쿵 기닥 X 삼채발로 뛰며 입장해서 원진을 만든다 덩 구 궁기닥 구 궁기닥 더 궁 기닥 기닥 쿵따 쿵기닥 쿠 쿵기닥 터 쿵 기닥 삼채발로 .. 가락보.감상문 2007.01.23
우도 판굿 의 짜임 우도판굿 작성 : 이승현 [판굿의 짜임] 호남 우도굿은 옛 전라 우도 지역, 즉 서울에서 내려다 볼 때 오른쪽에 해당되는 지역인 전라도 서부의 평야지역에 널리 전승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 치배의 짜임, 옷차림, 발림이 조금씩 다른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인 가락이나 내용은 서로 비슷하다. 이리 우.. 가락보.감상문 2007.01.16
[스크랩] 소고춤익이기 콘테츠 자료모음집 소고춤 익히기 위한 콘텐츠 자료 모음집 국악 장단 모듈 자료 굿거리 장단 모듈 자료 세마치 장단 모듈 자료 자진모리 장단 모듈 자료 중중모리 장단 모듈 자료 소고춤 동영상 자료 소고의 각 동작별 동영상 자료 한국전통무용 동영상 자료 사이트 소고춤 동영상 자료 인터넷 사물놀이 VOD 자료실 방울.. 가락보.감상문 2006.10.10
[스크랩] 전북 무형문화재 제7-2호 고깔소고춤 정읍 꼬갈 소고춤 가락보 장고 장단 삼채 장단 덩 덩 덩 더 궁 기닥 덩 덩궁 덩 더 궁 기닥 제자리 덩 구 궁기닥 구 궁기닥 더 궁 기닥 기닥 쿵따 쿵기닥 쿠 쿵기닥 터 쿵 기닥 X 삼채발로 뛰며 입장해서 원진을 만든다 덩 구 궁기닥 구 궁기닥 더 궁 기닥 기닥 쿵따 쿵기닥 쿠 쿵기닥 터 쿵 기닥 삼채발로 .. 가락보.감상문 2006.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