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흐름으로 본 장고춤의 교육적 효용에 관한 연구 사적 흐름으로 본 장고춤의 교육적 효용에 관한 연구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및 제한점 Ⅱ. 장고춤의 형성과 사적 변천 1. 생성동기 2. 변형된 형태 Ⅲ. 장고춤의 실용화 방안 1. 장고춤의 유형적 분석 2. 교육 실용화 방안 3. 전통춤으로서 전승보전을 위한 예술적 실용화 방안 Ⅳ결론 .. 국악이론 2009.04.03
음계화 선법 대부분의 한국 음악 선법은 평조와 계면조로 설명된다. 그러나 민요는 이러한 두 가지 선법에 국한시켜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긱 지방의 민요들에서 나타나는 고유한 음악적 특징에 따라 경기소리 형태, 서도소리 형태, 메나리소리 형태, 육자배기소리 형태, 제주도소리 형태로 구분하여 .. 국악이론 2008.10.21
민요의 빠르기와 민요의 종류 민요의 빠르기와 민요의 종류 1. 민요의 빠르기 민요의 빠르기는 민요마다 다르기에 설명을 드릴수가 없네요. 단, 민요 제목에서 자진(잦은)등의 용어가 나오면 빠른곡입니다. 장단 빠르기 순서 (느림)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 (빠름) 2. 민요의 종류 2.1 내용에서 분류 노동요, 놀이요, 작.. 국악이론 2008.09.27
민요의 음계 구조 선법(mode)이란, 음계의 구조를 뜻하는 말한다. 음계(scale)는, 어떤 곡이나, 혹은 어떤 지역의 음악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음들을, 한 옥타브 안에 음높이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를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이 음계 안의 서로 다른 음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 국악이론 2008.09.10
[스크랩] 예의춤. 본살풀이. 태평무. 진도북춤. 승무 1. 예의춤 한국의 춤은 몸과 마음으로 상대방을 높이고, 하늘에 경배하는 ‘예(禮)’의 정신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하니 춤 자체가 몸과 마음의 수행과정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자연 만물에 하늘의 뜻이 깃들어 있어, 그 모든 것에 감사해야 한다. 한국의 춤은 절을 드리며 몸을 숙임으로써 자기를 낮추.. 국악이론 2007.10.20
설장구 사용법: (메는 법과 치는 법) 설장구 사용법: (메는 법과 치는 법) 설장구를 치기 위해서는 먼저 장구통을 몸에 메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끈은 보통 소창지를 사용한다. 소창지는 땀의 흡수도 좋고 잘 미끄러나지 않기 때문에 무대용에서 쓰는 색동원단 보다는 훨씬 좋다고 보겠다. 소창지는 흰색으로 자신의 양팔을 벌려 2번 .. 국악이론 2007.10.19
음악적요소 기경결해起輕結解란 무엇인가? 만중삭.. 이 것은 속도의 개념입니다. 만은 느리고 중은 중간 삭은 빠름을 의미합니다. 느린 장단으로 시작해서 점점 빠른 장단으로 몰아가는 것은 전통음악 자체의 커다란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정악곡의 영산회상이란 곡은 아주 느린 장단으로 시작해서 점차 빠른 장단으로 몰아가게 되는데 곡은 .. 국악이론 2007.09.04
대금[大笒] 과 소금[小笒]이란.. 대금[大笒] 과 소금小笒이란.. 대금大笒 한국의 전통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공명악기(共鳴樂器). 정악대금음계 저 또는 젓대라고도 하며 한자로 적(笛)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악기를 가로로 비껴들고 한쪽 끝부분에 있는 취구(吹口)에 입술을 대고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 국악이론 2007.06.23
[스크랩] "사물놀이의 생성과 발전" "사물놀이의 생성과 발전" 1970 년대 말은 국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인데요, 이때를 전후해서 대학가를 중심으로 국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기 시작하고 국악의 대중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사물놀이가 처음으로 선보이게 됩니다. 사물놀이 공연이 처음 열린 것이 1978년 2월인데요, 공연기획가.. 국악이론 2007.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