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춤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승무는 흔히 중춤이라고도 하지만 불교의식(佛敎儀式)에서 승려가 추는 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민간연향(民間宴享)에서 무원(舞員)이 흰 장삼을 입고 흰 한삼을 끼고 붉은 띠 모양의 가사를 매고 흰 고깔을 쓰고 추는 춤을 가리킨다. 재(齋)와 같은 큰 불교의식에는 승려들이 법고춤(法鼓춤), 바라.. 국악이론 2007.04.12
[스크랩] 각 지방의 민요... 민요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 구전으로 내려오고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분명치 않습니다. 지방마다 말투가 다르듯 민요에도 각 지방의 특색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지방 민요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경기 민요 - 서울, 경기 지방과 충청도 일부 지방을 포함합니다. 창부타령, 아.. 국악이론 2007.02.10
징에 대한 이론과 연주법 징은 놋쇠로 만드는 타악기의 하나로 본래의 소리는 '정'(鉦)이나 징이라는 이름으로 굳어졌다. 징은 쇠에 비하여 크다고 하여 대금(大金), 태징이라고도 하고, 옛 군악인 고취악에서 쓰던 까닭으로 고취징이라는 별명도 있으며, 그 밖에 나, 금라(金羅), 금(金), 금정(金鉦) 등의 이름이 있다. 징의 그 쓰.. 국악이론 2007.02.01
분박에 대한 이야기 분박에 대한 이야기 가락, 춤, 호흡을 원칙적으로 분리해서 설명할 수는 없으나 가락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락 분석이 필요하다. 풍물 가락은 리듬으로서의 특징과 함께 가락속에 내고, 달아, 맺고, 푸는 내부완결성을 갖기 때문에 풍물이 타악기로만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율이 있는.. 국악이론 2007.01.16
시나위에 대해서 시나위 이란.. 시나위 신방곡(神房曲)·심방곡(心方曲)이라고도 한다. 한강 이남과 태백산맥 서쪽지방의 무속음악에서 유래한 기악곡으로서 특히 호남지방에서 많이 부른다. 어원은, 신라 때 노래를 뜻하던 사뇌(詞腦)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며, 외래 음악인 당악(唐樂), 즉 정악(正樂)에 대하여 토속.. 국악이론 2007.01.16
[스크랩] 내가좋아하는 "흥타령"사설 몆소절 흥타령 -중모리- ** 아이고 대고 허허- 어허-어허어 성화가 났네 헤-- 1.푸른 숲이 우거진 골짝 내 사랑이 묻혀 있네. 진이여 내 사랑아 앉었느냐 누었느냐. 불러봐도 대답이 없고 어여쁜 그 모습은 어데 두고 땅속에 뼈만 묻혀 아무런 줄 모르네 그려. 잔을 들어 술 부어도 잔을 잡지 아니 허네 2.잊으라면.. 국악이론 2006.09.01
[스크랩] 상여소리 상여에 대하여 ♣ 정의: 장사지낼 때 부르는 소리를 말 합니다. ♣ 상여 소리= 민간신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지만 유불선의 모든 사상을 고루 반영하고 있는 노래중에 상여소리가 있읍니다. 인간이 사는 곳에는 어디에나 죽음으로 인한 이별의 슬픔이 있읍니다. 상여소리는 인간이 숙명적으로 .. 국악이론 2006.07.22
[스크랩] 풍물 사전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가] 위로 가새진 : 2열 종대로 마주서서 사람 사이로 빠져 나가면서 전진하는 놀이. 가새는 가위의 사투리이다. 각간치배 : 풍물굿에서 각각의 치배(풍물 구성원)를 일컫는 말. 개꼬리상모 : 판굿에서 쇠잡이가 부들상모를 뒤로 젖히고 발.. 국악이론 2006.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