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이론

[스크랩] 풍물 사전

土譚 2006. 7. 8. 21:51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가] 위로

  • 가새진 : 2열 종대로 마주서서 사람 사이로 빠져 나가면서 전진하는 놀이. 가새는 가위의 사투리이다.
  • 각간치배 : 풍물굿에서 각각의 치배(풍물 구성원)를 일컫는 말.
  • 개꼬리상모 : 판굿에서 쇠잡이가 부들상모를 뒤로 젖히고 발짓으로 부포를 개꼬리와 같이 이리저리 흔드는 놀이. 이것은 부들상몰에만 있고 뻣상모에는 없다.
  • 각기목 : 경상도에서 쓰이는 말로, 호적이라는 뜻.
  • 개인놀이 : 판굿의 뒷판에 한두 잡이가 놀이판 가운데 나와 그들의 장기를 보여주는 놀이를 개인놀이라고 한다. 개인놀이에는 쇠놀이, 장구놀이, 소고놀이, 잡색놀이, 무동놀이 등이 있는데, 쇠놀이와 소고놀이(벅구놀이)에서 쇠잡이나 법고잡이들이 송모짓하는 상모놀이가 유명하다.
  • 걸궁패 : 걸립풍물을 하는 풍물꾼.
  • 걸립굿(걸궁굿) : 집집이 돌며 고사를 지내주고 쌀이나 돈을 걷는 것을 '걸립한다' 혹은 '걸궁한다'고 한다. 또 풍물을 치며 갈립하는 의식을 걸립굿·걸궁굿이라 부른다. 걸립굿은 마을에 들기 전에 치는 들당산굿·문굿, 마을에 들어가 치는 당산굿·샘굿, 집안에 들어서 치는 문굿·마당굿·조왕굿·천륭굿·고방굿·외양간굿 등이 있다. 이밖에 뜰에서 치는 도둑잡이굿이 있고, 마을에서 나갈 때 치는 날당산굿이 있다. 집안 고사에는 따로 고사소리나 성주풀이를 부르기도 한다.
  • 걸립패 : 집집이 돌며 걸립굿을 치는 풍물대. 모(某) 갑(甲)이의 신분에 따라 낭걸립패, 절 걸립패, 신청 걸립패로 나눈다.
  • 겐지겐굿 : 12/8 박자로 이루어진 가락으로 자진모리와 한배가 맞으며, 좌도영산굿에서 쓰인다.
  • 겹박 : 박자가 겹으로 연주되는 것.
  • 고동 : 영남풍물에서 쓰이는 말로, 긴 나팔을 말한다.
  • 고동진 : 멍석말이. 통영풍물에서 쓰이는 말이다.
  • 고방굿 : 곡식을 저장하는 고방이나 창고에서 치는 고사굿
  • 고사반 : 걸립패가 고사굿에서 부르는 소리를 고사반이라 부른다. 고사반에는 고사소리군이 길게 부르는 고사소리, 짧게 부르는 고사반, 구호처럼 외치는 고사반이 있다.
  • 고사소리 : 걸립패의 고사굿에서 고사소리굿이 집안의 안녕을 비는 소리로 경기·전라도에서는 매우 길게 부른다. 고사소리에는 신세풀이, 과거풀이, 액풀이, 농사풀이, 성주풀이와 같은 것이 있고, 경기도에서는 따로 뒷염불이라 하여 평조염불(회심곡)이나 반맥이를 부른다.
  • 구정놀이 : 개인(個人)놀이를 말한다.
  • 군고(軍鼓) : 군진법(軍陣法)을 위주로 하는 풍물의 개념에서 보는 '풍물'이라는 뜻이다.
  • 군쇠 : 밀양풍물에서 쓰이는 말로, 잽이들이 멋을 부린다는 뜻.
  • 군총 : 군진(軍陣)풀이를 주로 하는 풍물.
  • 굿 : 흔히 무의식을 굿이라 부른다. 무의식에 따른 연희를 가리키기도 하고, 또 풍물을 굿이라고 부르며 풍물치는 것을 '굿친다'고 한다. 풍물에서 굿은 샘굿·당산굿의 경우와 같이 의식을 가리키기도 하고 3채굿, 5채굿 길굿과 같이 쇠가락을 가리키기도 한다. 또 오방진굿·도둑잡이굿과 같이 연희를 뜻하는 등 두루 쓰인다.
  • 굿물 : 굿에 쓰이는 기물을 가리킨다. 즉, 풍물에 쓰이는 악기, 기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쓰인다. 또 풍물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 궁글채 : 장구에 있어서 왼쪽의 낮은 음이 나는 채.
  • 금고(金鼓) : 옛날에는 풍물을 금고(金鼓)라 했다. 꽹과리·징을 금(金)이라 하고, 북·장구·소고 등을 고(鼓)라고 하는 데서 연유한다.
  • 길군악 : 풍물에서 행진할 때 쓰이는 쇳가락의 총칭. 일명 질굿ㆍ길굿ㆍ질매구ㆍ길꾸내기ㆍ엇모리형 장단과 자진모리형 장단으로 대별되는데 전자가 고형이다. 경북ㆍ경기ㆍ경남풍물의 길군악, 경기풍물의 마당일채, 길군악7채, 호남 우도풍물의 오채질굿ㆍ좌질굿은 엇모리형이거나 이의 변주형으로 전자에 해당하고 호남 외마치질굿과 다른 고장의 질굿은 후자에 해당 한다.
  • 길군악7채 : 경기도 풍물에서 행진에 쓰이는 쇳가락의 하나. 3분박과 2분박이 3+2ㆍ3+2ㆍ3+3ㆍ3+3ㆍ3+2ㆍ2+3. 3+2로 구성되며 꽹과리는 '깽-ㆍ갠지갱 깽-ㆍ갱-ㆍ갠지갠ㆍ갱-개깽-' 징은 7점을 친다. 이 쇳가락은 경기도 풍물의 독특한 가락이며 경기도ㆍ강원도 영서ㆍ충청도 북부지방에 두루 쓰인다. 행진음악과 판굿에서 멍석말이에 쓰이며 매우 씩씩한 느낌을 준다.
  • 길굿 : 길놀이로 치는 풍물.
  • 꼰두쇠 : 전문적인 풍물잽이. 경기도에서 쓰이는 말이다.
  • 꽃수건 : 고깔 안에 동여맨 수건. 경기도 이천에서 쓰인다.
  • 꽃트림 : 백중(百中)날 풍물꾼을 사서 마을사람들과 즐기는 것을 말한다. 주로 호남풍물에서 쓰인다.
  • 꽹맥이 : 꽹과리. 주로 호남풍물에서 쓰이는 말이다.
  • 꽹쇠 : 꽹과리.

      [나] 위로

      • 나비상모 : 벙거지에 종이를 가늘고 길게 여러 겹으로 된 것을 단상모라 하며, 옛날에는 그냥 상모라 했다. 부포상모와 채상모가 새로 생기면서 옛것은 나비상모 혹은 나비상이라 부른다. 지금은 부포상모, 채상모로 바뀌어 다시 쓰이지 않는다.
      • 나팔 : 쇠로 만든 긴 나팔.
      • 난장쇠 : 장터에서 치는 풍물이라는 뜻인데, 경기풍물에서 쓰이고 있다.
      • 낭걸립패 : 서낭을 받은 서낭기를 들고 걸립하는 걸립패.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에 많다.
      • 너름새 : 가락을 멋있게 치라는 뜻.
      • 내드림 : 시작선율을 일컫는 말. 드름이란 가락이란 뜻이며, 내드름이란 내는가락이란 뜻이다. 판소리.산조.풍물과 같은 음악은 처음에 제시한 선율형 또는 리듬형을 조금씩 발전시켜 나가다가 맺고(景) 풀어(解) 종지한 후 다시 다른 가락을 내게 되는데, 처음에 제시하는 가락을 내드름이라하며, 시작될 음악의 성격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 놀이 : 굿을 할 때 행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신성(神聖)한 놀이라 할 수 있다.
      • 농기(두레기) : 두레패에는 영기라 부르는 작은 기와 대기라 부르는 큰기가 있다. 두레패의 대기는 농기 또는 농상기, 덕석기, 두레기라 부르며 걸립패의 대기, 즉 서낭기 또는 낭기보다 크다. 대여섯 길되는 긴 대나무로 깃대를 만들고, 그 끝에 꿩꼬리로 만든 꿩장목을 깃봉으로 달고 그 밑에 긴 깃폭을 단다. 기폭에는 '神農遺業' 또는 '農者天下之大本'이라 쓰며, 용을 그리는 경우에는 용기, 용당기, 용둣기라고도 부른다. 용기는 동제의 신대와 같은 것으로 농신이 내리는 기능이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퇴화해 버렸다.
      • 농기패 : 勞作農樂을 할 때 흔히 쓰이는 말로서 農旗를 든 풍물꾼.
      • 농사풀이 : 농경모의를 하는 몸짓이나 춤. 한편으로는 농식(農式), 또는 농사굿이라 하기도 한다. 영동(嶺東)과 경상도 동해안 지역의 풍물에서 쓰이는 말이다.

      [다] 위로

      • 다드래기 : 쇠가락의 하나. 3분박 매우 빠른 4박자(8분의 12박자)이거나 2분박 매우 빠른 4박자(4분의 4박자)이다. 매우 빠른 가락을 모두 다드래기라 부른다. 쇠가락 끝에는 다드래기로 몰아간다. 구성지고 씩씩한 가락이다.
      • 다드걸립패(나루걸립패) : 지역 유지들이 다리·나룻배를 보수하기 위한 자금을 걷기 위하여 조직된 걸립패.
      • 다리굿 : 걸립패기 지나다가 다리르 건너기 앞서 치는 고사굿. 고사반은 '앗다, 그 다리 잘 놨다. 치렁치렁 건너가자'하고 구호로 외친다.
      • 대금(大金) : 징을 상징한다.
      • 대삼 : 움직임을 크게 하라는 뜻.
      • 덧뵈기꾼 : 부산지역 풍물에서의 풍물꾼.
      • 덧배기친다 : 풍물을 한다. 부산지방에서 쓰이는 말이다.
      • 덩덕궁이 : 쇠가락의 하나. 3분박 조금 빠른 4박자(8분의 12박자)이다. 고사굿·판굿에 두루 쓰이며 상모놀이에는 이 가락이 주가 된다. 매우 구성지고 흥겨운 가락이다.
      • 도둑잽이굿(도둑잡이굿) : 풍물굿에서 연희적인 성격을 띤 거리로 흥미로운 내용이 전개된다. 판굿 끝판에 상쇠와 대포수의 재담으로 엮어지는 놀이. 대포수를 도둑으로 가정하여 상쇠가 영을 내어 도둑을 잡고, 목을 베어 영기에 꽂고 개선한다는 내용이다.
      • 도청 : 호남지방에서 풍물대를 지도하는 어른을 말한다.
      • 돌돌이 : 마을을 돌아 다니는 것.
      • 돛대 세우기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우고, 앞으로 나가면서 부포가 오래 서있게 해 배에 돛대가 서 있는 모습과 같이 하는 재주.
      • 두렁쇠 : 논두렁에서 풍물을 친다는 뜻인데, 경기·충청풍물에서는 비전문적인 마을 풍물을 말하기도 한다.
      • 두레굿 : 두레패들이 치는 풍물. 두레패는 들에 나갈 때, 논에서 논으로 이동할 때, 들에서 마을에 들어올 때 두레굿을 친다. 그러나 호남지방에서는 논에 들어가 김매며 치는 풍물을 두레풍장이라 부른다. 풍장에는 들풍장, 도돌이풍장, 잦은풍장, 날풍장이라 하여 논에서 김매기를 시작할 때와 끝날 때의 쇠가락이 달라 여러 가지 변화가 있다. 호남지방에서 논에 들어가 치는 풍장은 꽹과리, 장구, 소고로 편성되며 소고잡이는 풍장옷에 어사화를 쓴다.
      • 두레패 : 농촌에서 농민들이 협동으로 일하기 위한 노동 조직체를 두레라 부른다. 두레를 조직하는 것을 '두레한다'고 한다. 일감에 따라 김메기 두레, 풀베기 두레, 삼삼기 두레가 있다. 김매기 두레는 논에서 김을 매기 위해 짠 두레이고, 풀베기 두레는 퇴비로 쓸 풀을 베기 위해 짠 두레다. 또 삼삼기 두레는 실을 뽑기 위해 짠 두레이다. 김매기 두레에는 두레굿, 두레풍장이라 하여 김매며 풍물을 친다.
      • 뒷손 : 꽹과리를 잡은 왼손.
      • 뒷풀이 : 풍물이 끝나고 구경꾼들과 합세하여 춤추는 것.
      • 들당산굿 : 걸립패가 마을에 들어가기 전에 동구 밖에서 치는 굿. 주로 호남지방에서 쓰인다.
      • 등맞추기 : 쌍쌍이 등을 대고 일제히 앉았다 섰다 하는 놀이.
      • 뜬쇠 : 남사당패의 풍물에서 쓰이는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라] 위로

      [마] 위로

      • 마당굿 : 걸립패들이 집안 마당에서 벌이는 조그만 판굿.
      • 마당밟이(답정굿?지신밟기) : 정초에 풍물대들이 집집마다 돌며 치는 풍물. 풍물을 치며 집안 구석구석을 누비면 '터를 누른다'하여 지신을 진정시키고 잡귀가 물러가며 가신의 축복을 받는다고 한다. 마당밟이와 걸립굿은 같은 것이나 걸립은 목적으로 하는 고사굿을 따로 걸립굿이라 부른다.
      • 마을문굿 : 들당산굿에 딸린 문굿. 그 마을에서 걸립패의 솜씨를 가늠해 보고자 할 때, 동구 밖에서 걸립패들이 벌이는 판굿의 일종. 마을의 허락을 받고 들어가는 절차가 따른다.
      • 매구 : 섣달 그믐날 잡귀를 쫓는 굿. 이러한 굿은 주로 호남지방 풍물에서 볼 수 있다.
      • 머리장단 : 상쇠가 장단을 넘길 때, 새로 장단을 주는 것을 말한다.
      • 멍석말이(방울진?고동진·도래진) : 잽이들이 1열횡대로 서서 나선형으로 행진하는 것으로 원(圓)을 말았다 푸는 것을 말한다. 일종의 진풀이이다.
      • 메나리토리 : 경상도ㆍ강원도ㆍ함경도ㆍ충청도 동부지방 민요와 경상도 동북부ㆍ강원도 동부ㆍ함경도 지방 무가(巫歌)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선율 형태. 일명 메나리조. 선율의 구성음은 미ㆍ솔ㆍ라ㆍ도ㆍ레이고, 주요음은 미ㆍ라ㆍ도이며 미 또는 라로 마친다. 경상도에서는 통속민요와 무가의 선율은 물론이고 민속기악곡ㆍ토속민요ㆍ곡소리ㆍ장사꾼 외치는 소리 등에 메니리토리가 두루 쓰인다. 민속기악곡에 메나리토리 허튼가락으로 연주할 경우에는 니나니가락 이라고도 한다. 민요 가운데 쾌지나칭칭ㆍ옹헤야ㆍ강원도아리랑ㆍ정선아리랑ㆍ한오백년ㆍ신고산타령ㆍ궁초댕기, 영동ㆍ영남 풍물의 호적가락, 경상도ㆍ강원도ㆍ충청도의 고사소리, 범패 등에도 메나리토리가 널리 쓰인다.
      • 면돌이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운 다음 부포를 쓰러지지 않게 가누며 얼굴을 돌려 부포도 함께 돌게 하는 재주.
      • 모가비 : 풍물대의 총무. 주로 경남지방에서 쓰이는 말이다.
      • 무동놀이 : 판굿에서 무동들이 춤추는 놀이. 경기·전라도에서는 어린 소년에 성인의 어깨 위에서 춤을 추고, 강원도 영동지방에서는 땅 위에서 춤을 춘다. 경기도 남서당패들은 '사미'라 하여 승복을 입은 소년들이 사미놀이를 하기도 한다.
      • 무동춤 : 어른무동과 어린이무동들이 추는 춤을 말한다.
      • 문굿 : 입동(入洞)할 때나 집돌이 때 문간에서 치는 굿.
      • 미지기(밀치기) : 잡이들이 몇 쌍씩 마주서서, 한편이 나서면 다른 편이 물러서고 한편이 물러서면 다른 편이 나서는 놀이
      • 밑놀음 : 상체운동(下體運動), 즉 고갯짓을 하지 않는 춤.

      [바] 위로

      • 반멕이 : 고사(告祀)소리의 하나. 낭걸립패들이 마을에 들어가 그 마을의 노인들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 부르는 노래이다. 독창과 합창의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일정한 장단은 없으나, 미ㆍ솔ㆍ라ㆍ도ㆍ레ㆍ미의 5음계로 구성된다.
      • 발림 : ①판소리 연주에서 창자(唱者)가 소리의 가락이나 사설의 극적인 내용에 따라서 손ㆍ발ㆍ온몸을 움직여 소리나 이야기의 감정을 표현하는 몸짓. 일명 과(科)ㆍ너름새ㆍ사페라고도 한다. 요즈음 판소리계에서 사체라고 흔히 불리는 발림이라는 명칭은 조선말기 고종(1864∼1907)때만 하여도 너르매라는 말로 쓰였고, 구한말이나 일제 때부터 쓰인 듯하다. 신재효(1812∼1884)의 '광대가(廣大歌)'에 의하면 근래 발림의 뜻으로 쓰인 너름새가 인물ㆍ사설ㆍ득음과 함께 소리광대의 네 가지 필수요건 중 하나로 지적되었다. '광대가'의 일부를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너름이라 하느거시, 귀셩끼고 경각(頃刻)의 쳔티만상(千티萬象), 위션위기(爲仙爲奇), 쳔변만화(千變萬化), 좌상(座上)의 풍류호걸(風流豪傑), 귀경하는 노쇼남녀(老小男女), 울게 하고 웃게 하는, 이 귀셩이 이시가, 엇지 아니 어려우며(이하 생략)" ②전통 민속 놀이의 춤연주에 나타난 특정한 춤사위를 뜻하는 말. 풍물무 중 장구놀이에서 장구 연주자가 한 장단을 치고 춤추는 동작을 할 때 그 춤사위를 가리키기도 하고, 송파산대놀이에서 전복자락을 양손으로 쥐고 활개를 폈다 내렸다. 하는 춤사위를 가리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경기ㆍ서도 지방의 산타령을 부를 때 소고(小鼓)를 치며 추는 춤을 일컫기도 한다.
      • 방구 : 모내기를 할 때의 소고놀이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못방구 또는 못방고라도 한다.
      • 배밀어기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운 다음 고개짓과 발짓으로 부포 끝을 밀어내 부포가 퍼지게 하는 재주.
      • 버슴새 : 버슴새는 남사당패에서 사용하는 말이다. 치배들이 아기를 연주하다가 극도에 오르게 되면, 망아의 경지에서 갖는 치배의 본질적 모습이다. 그래서 선인(善仁)의 모습을 하기도 하고, 악인(惡人)의 모습을 하기도 한다. 예술의 경지를 드러내는 용어이다.
      • 법고 : 소고 또는 매구북이라 하는데, 풍물에서 법고라 함은 절걸립 때 나온 말이다.
      • 법고놀이(소고놀이) : 판굿에서 법고잡이들이 나와서 소고를 치며 춤을 추고 여러 채상모놀이와 연풍대, 허궁잡이를 하는 놀이. 법고잡이가 고깔을 쓰고 상모 놀음은 없고 춤사위로 판을 짠다.
      • : 풍물인들 사이에서 쓰이는 암호말.
      • 별달거리 : 12차에서 사용하는 가락으로 달리 영산다드래기, 자브랑갱이라고 부르며, 12/8박자로 빠른 박자이다.
      • 복색(服色) : 풍물꾼의 옷.
      • 복판치기(해바라기) : 산치기로 부포를 세웠다가 고개짓으로 부포의 복판(중등)을 꺾는 재주.
      • 부들상모 : 상모의 물체를 부드럽게 하여 부포를 이리저리 흔들 수 있도록 만든 부포상모. 본래 상모는 부들상모였으나 뻣상모가 생긴 뒤, 예전 것을 부들상모라 부른다. 영남과 호남 좌도풍물굿에서 써왔으나 차츰 뻣상모로 바뀌어 가고 있다.
      • 부포놀이 : 풍물대의 쇠잡이가 부포상모를 쓰고 이리저리 재주부리는 놀이를 부포놀이, 부포짓이라 하며 호남풍물에서 발달되었다. 부포놀이에는 일사(외상모), 이사(양산모), 사사, 퍼넘기기, 전치기, 전조시, 산치기, 연봉놀이, 불모디기, 돛대세우기, 이슬털이, 면돌림, 복판치기, 배밀어기 등이 있다.
      • 부포상모 : 쇠꾼들이 쓰는 상모. 깃털로 꽃처럼 만든 상모. 고니의 날개가 깃털이 가장 좋다. 부포상모가 쓰는 것으로 호남지방에서 먼저 시작한 것 같으며, 부포를 다는 물체의 형태에 따라 뻣상모와 부들상모가 있다.
      • 북시말이 : 완도(莞島)지방 풍물에서 쓰이는 말로 '상모놀이'라는 뜻이다.
      • 불넘기 : 판굿의 끝판에 풍물수들이 풍물을 치며 차례로 모닥불을 뛰어넘는 놀이.
      • 붙힘새 : 장단에 맞게 리듬을 붙이는 것을 말한다. 엇붙힘, 임아걸이, 완자걸이, 교대죽 등이 있다.
      • 비조리 : 경기도 이천에서 쓰이는 말로, '개인놀이'라는 뜻이다.
      • 뻣상모 : 상모의 물체를 뻣뻣하게 하여 부포를 세우도록 만든 부포상모이다. 호남 좌도풍물의 쇠잡이가 쓴다.

      [사] 위로

      • 사물(四物) : 북·장구·쇠·징 등의 네 가지의 기본 악기.
      • 사미놀이 : 사미는 중애라고도 부른다. 승복의 어린 소년으로 경기도 판굿에서 무동놀이에 사미를 무동에 세우고 이리저리 던지는 놀이가 있다.
      • 사사(사사윗놀이) : 왼편에 두 바퀴, 오른편에 두 바퀴씩 교대로 상모를 돌리는 상모놀이.
      • 4통배기(4진굿) : 네 군데서 차례로 도진을 짜는 놀이, 세 군데 짜면 삼통배기, 다섯 군데 짜면 오통배기가 되고 두 군데 짜면 쌍진굿, 좌우각진, 두통배기가 된다.
      • 삼채 : 풍물에서 징을 3점 치는 쇳가락을 일컫는 말. 느린 것은 긴 삼채 또는 느진삼채, 빠른 것은 자진삼채 또는 된삼채라고 하며 대개는 박으로 구성된다. 그 명칭과 쇳가락은 판굿의 종류, 지역, 변주방법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며, 동리삼채·벙어리삼채·응매깽깽 등이 이에 속한다.
      • 상모 : 돌모, 꼬꼬매라 부른다. 풍물대의 쇠잡이나 법고잡이가 쓴다. 꼬꼬매는 상모를 꼬꾸라미라 부르는 데서 나온 것 같다. 상모는 형태에 따라 나비상모, 부포상모, 채상모, 12발상모가 있다.
      • 상모놀이 : 풍물수들이 상모 달린 벙거지르 쓰고 상모를 이리저리 돌리며 재주를 부리는 놀이. 상모놀이에는 부포상모를 쓰고 부리는 부포놀이, 채상모를 쓰고 부리는 채상모놀이가 있다.
      • 샘굿 : 걸립패가 마을 공동우물이나 집안 우물에서 치는 고사굿. 풍물을 치고 나서 경상도에서는 '이 샘물이 좋소. 벌떡 벌떡 잡수시오. 만인문 먹더라도 수명장수 비나이다'하고 경기도에서는 '뚫어라, 뚫어라, 샘구녁만 뚫어라' 고사반을 외친다.
      • 서낭 : 밀양풍물의 큰 기(旗)
      • 서낭옷 : 서낭기(城隍旗)의 기폭.
      • 선반 : 서서 연주하는 풍물굿의 형태를 지칭한다.
      • 설장구 : 판굿에서 장구잡이가 놀이판 가운데 나와 장구를 독주하며 여러 가락과 춤 솜씨를 보여 주는 놀이. 옛날에는 상쇠, 상장구가 서로 마주서서 쇠가락을 주고 받았으나, 정읍지방에서는 장구를 혼자 치는 설장구가 생겼다. 설장구가락은 구정놀이, 덩덕궁이, 굿거리 등 여러 가락을 엮어 나간다. 설장구는 즉흥적인 가락을 치는 것이나, 요즘은 판을 짜서 설장구, 5장구를 세우기도 한다.
      • 성진 : 통영풍물의 원진(圓陣)을 말하는데, 전쟁에 나가는 것을 상징한다.
      • 성주굿 : 성주신을 모시는 굿.
      • 성주풀이 : 전라도 신청걸립패에서는 고사소리군이 삼현육각의 반주로 성주풀이를 고사소리에 이어서 부른다. 이 성주풀이는 민간에 퍼져서 민요화되었다.
      • 성황기(城隍旗) : 경북지방의 근 기(旗)
      • 세산시조 : 호남 우도풍물에 쓰이는 쇳가락의 하나. 매우 빠른 박자이며, 단모리장단과 같다.
      • 소금(小金) : 꽹과리.
      • 소리굿 : 판굿 가운데 잡이들이 둥글게 서서 일제히 소리 부르는 놀이. 경기도에서는 '상사소리'를 부르고 전라·경상도에서는 '에헤야 소리'를 부른다.
      • 소삼 : 움직임을 작게 어르라는 뜻.
      • 쇠가락 : 풍물 장단을 쇠가락이라 부른다. 풍물의 음악은 상쇠의 쇠(꽹과리)가 주도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흔히 쓰이는 쇠가락에는 길굿(길군 악), 덩덕궁이, 다드래기, 굿거리 등이 있다.
      • 쇠놀이 : 판굿에서 상쇠, 부쇠, 종쇠 등 쇠잡이가 하나씩 나와 갖가지 가락을 치며 여러 가지 상모놀이를 한다. 경기도에서는 쇠발림을 하기도 한다.
      • 쇠발림 : 상쇠가 추는 춤. 판굿의 쇠놀이에서는 쇠잡이가 상모놀이를 한 다음, 꽹과리채를 거꾸로 쥐고 쇠채수건(너설)을 휘저으며 추는 춤으로 경기풍물에서 볼 수 있다.
      • 쇠옷 : 풍물에서의 복장.
      • 수령수 : 영기(令旗)를 든 사람.
      • 신농원업(神農遺業) : 전북 충청풍물의 큰 기(旗).
      • 신청걸립패 : 호남지방 세습무들이 영기를 들고 그들의 당골판에서 시주를 걷는 걸립패. 전문적인 예인들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잡이 솜씨가 훌륭하다. 삼자육각·고사확대가 딸려 고사창과 성주풀이를 부른다.
      • 쌍장구놀이 : 판굿에서 장구잡이 둘이 놀이판 가운데 나와 서로 마주서서 설장구와 같이 노는 놀이.

      [아] 위로

      • 앉은반 : 풍물을 칠 때에 앉아서 연주하는 것을 지칭한다.
      • 양사(양상모·양상모놀이) : 왼편, 오른편 교대로 한 바퀴씩 상을 돌리는 상모놀음.
      • 얼림굿(어림굿) : 풍물에서 풍물대들이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어르는 쇳가락이나 판굿의 명칭. 풍물을 시작하기 전에 상쇠가 풍물대들을 모아 놓고 정해진 장단없이 "덩덩덩덩……"라고 연타하면 다른 잽이들도 이와 같이 따라치는데, 본래 서낭대나 영기(令旗)를 세워놓고 신(神)을 받는다는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 엇부침 : 장단을 하나 먹고 들어가는 것. 따라서 장단과 장단 사이에 노는 것을 말할 때 이렇게 말한다.
      • 역진 당산굿 : 풍물꾼들이 문굿을 하려고 입동(入洞)할 때 뒷걸음으로 들어가는 것.
      • 연봉놀이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운 다음 발짓, 고개짓으로 부포를 놀려 부포가 마치 연꽃 봉오리가 피었다 오무렸다 하는 모습과 같이 하는 재주.
      • 연풍대 : 좌우로 도는 춤사위. 검무와 승무 같은 춤에도 쓰인다. 풍물에서는 매우 빠르게 도는 사위를 쓴다. 판굿에서 법고잡이 또는 장구잡이가 연풍대를 많이 한다.
      • 12발상모 : 채상의 길이를 매우 길게 만든 상모를 12발이나 길다 해서 12발상모라 부른다. 12발상모가 달린 상모는 고사굿이나 길굿에서는 쓰지 않고, 판굿의 개인놀이 중 12발상모놀이에서만 쓰인다.
      • 열채 : 장구에서 있어서 오른쪽의 높은 음이 나는 채.
      • 영산 : ①호남풍물굿에 쓰인 쇳가락의 하나. 길군악·품앗이굿·된삼채·일자신굿·인사굿과 함께 우도굿의 들당산굿에서 사용되었으며, 좌도굿에 쓰인 영산이란 가락은 연주되는 속도에 따라서 늦인영산·자진영산·조른영산으로 나뉜다. 좌도굿에서는 영산가락에 맞추어 풍물대원들이 노는 놀이를 영산이라고도 하는데, 이 놀이에서 상쇠와 부쇠가 소쩍새가락을 연주하면서 서로 교대로 춤을 춘다. 앉은영산·돌림영산 같은 풍물 놀이도 연주되는데, 이때 상쇠는 늦인삼채를 치면서 상쇠와 부쇠는 마당의 중앙에서 멋진 가락을 주고 받을 때 다른 풍물대원들은 환진(環陳)으로 돌며 춤을 춘다. 그리고 상쇠가 소쩍새가락을 치면 부쇠가 춤을 추고, 부쇠가 소쩍새가락을 치면 상쇠가 춤을 추는데, 이때 소고잽이는 나비상을 하면서 논다. ②경남풍물굿에 쓰인 쇳가락의 하나. 황일백의 연주에 의하면 풍물굿 12차 중에서 열두번째의 가락이름으로 쓰였다.
      • 영산다드래기 : 경상도 남부지방 쇳가락의 하나. 또는 판굿의 한순서, 박자. 굿거리 장단에 맞는다 , 판굿에서 영산다드래기 순서는 우물놀이 다음에 행하여지는데 집이들이 영산다드래기가락을 치면서 상쇠와 소고수들이 외상쇠놀음·양산쇠놀음·사사놀음·전치기웃놀음·쌍전웃놀음 등 여러 가지 상모놀음을 하고 반다드개기가락으노 쇳가락을 치다가 자진다드래기가락으로 더욱 모아쳐서 마친다.
      • 오방진 : 동서남북, 중앙 오방에 방울진(달패이진)을 짜는 놀이.
      • 오채질굿(우질굿) : 호남 우도풍물 판굿의 첫머리에만 연주되는 쇳가락으로 징이 다섯 점 들어가는 행진가락이란 뜻. 오른편으로 돌며 쇳가락을 치기 때문에 우질굿이라 부르기도 한다.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2·3·3·2, 2·3·3·2, 3·2·2·3, 3·3·3의 혼합박으로 형성된다. 이때 첫 강박에만 징이 들어간다. 그리고 매 첫 강박을 징만 치고 꽹과리가 치지 않고 쇠게 도리 때는 벙어리오채라 한다.
      • 외양간굿 : 마굿간에서 치는 고사굿. 경기도에서는 '매었네 매었네 금송아지 매었네', 경상도에서는 '신농임 본을 받아, 대오임 본을 받아 연년 농사 잘지기르 소원 성취 비나이다'하고 고사반을 부른다.
      • 용기 : 용을 그린 기를 용기 또는 용당기, 용둣기라 부른다. 두레패의 대기, 동제 굿패의 대기에 용기가 쓰이며 군기에도 용기가 있다.
      • 용솟음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우고 발짓, 고개짓으로 부포를 놀려 연봉놀이처럼 부포를 폈다 오무렸다 하는데, 이 부포를 힘있게 늘였다 당겼다 해 용이 힘차게 솟아오르는 모습과 같이 하는 재주.
      • 용트림 : '之(지)'자로 걸어가면서 춤추는 것. 호남풍물에서 쓰이는 말.
      • 윗놀음 : 말뜻 그대로는 상체(上體)놀음이나, 실제로는 꽹과리나 소고잽이들이 하는 고갯짓(상모놀이)이다.
      • 음양성 : 음양의 소리.
      • 이슬털이 : 산치기로 부포를 세우고, 다시 제쳐서 풀잎이 이슬을 털어내는 시늉을 내는 재주.
      • 일광놀이 : 호남풍물에서 하는 연극놀이.
      • 일사(외사·외상모·외상모놀음) : 부포상모·채상모·상모를 한 방향으로 돌리는 상모놀음. 상모놀이를 배울 때 먼저 배우는 기초적인 동작이다.
      • 일진(一進)·이진(二進)·삼진(三進) : 완도(莞島)풍물에서 쓰이는 말로, 陣을 싼다는 뜻이다.

      [자] 위로

      • 자질굿 : 호남 우도풍물굿 판굿에 쓰이는 쇳가락의 하나. 오채질굿에 이어서 잽이들이 왼쪽으로 돌며 치는 가락에서 붙여진 이름. 3박자와 2박자가 2·3·3·2로 섞인 10/8박자.
      • 잡색(雜色) : 대포수·창부·각시·양반·무동 등 풍물대 뒤를 따르는 연기자들.
      • 잡색놀이 : 판굿에서 잡색들이 쇠가락에 맞추어 춤도 추고 재담도 하는 놀이. 대포수놀음과 조리중놀음이 유명하다.
      • 잽이 : 풍물 편성의 한 배역을 말할 때 쓰이는 말로, 일종의 풍물꾼이라는 뜻.
      • 전조시 : 전치의 한 가지. 적자로 벙거지의 전을 여기저기 쪼아가는 재주.
      • 전치기 : 전이란 벙거지의 모양을 가리킨다. 상모의 적자로 벙거지의 전을 치는 재주를 전치기라 한다.
      • 절걸립패 : 절에서 낸 영기를 들고 절을 중창할 시주를 걷는 걸립패. 탈박승이 화주로 딸리기도 한다.
      • 조왕굿 : 걸립패들이 부뚜막 앞에서 조왕신에게 치는 고사굿.
      • 좌우치기 : 도형을 그리고 선 채 전후, 좌우로 몇 발짝씩 장단에 맞우어 일제히 들고 나는 놀이.
      • 중매구 : 절 일을 보는 풍물.
      • 지와밟기 : 전원이 1열횡대로 엎드려 서면, 뒤에서 한 사람이 사람 등 뒤를 밟고 건너가는 놀이. 지와는 기와의 사투리이다.
      • 진법놀이 : 판굿에서 풍물대 잡이들이 열을 지어 여러 가지 도형으로 움직이는 놀이. 진법놀이에는 멍석말이, 오방진, 사통배기, 가새진, 당산벌림, 호허굿, 소리굿, 미지기, 을자진, 달이치기, 좌우치기, 등맞추기, 콩동지기, 지와밟기, 원진 등이 있다.
      • 진쇠 : 경기도 남부지방의 무무(巫無)반주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진쇠춤의 반주에 쓰이며, 부정놀이에 이어서 치거나, 넝김채·겹마치·덩덕궁이로 넘기는 경우가 많다.
      • 진풀이 : 일종의 군진법(軍陣法)놀이로서 각종 행진법(行進法)과 대형(隊形)을 만든다.
      • 집돌이 : 가호순방(家戶巡訪).
      • 집안문굿 : 걸립패가 집안에 들며 대문에서 치느 굿. 풍물을 치고 나서 '주인 주인 문 여소, 문 안 열면 갈라요' 혹은 '문 여소 문 여소. 수문장군 문 여쇼' 고사반을 외친다.
      • 짝드림 : 잽이들이 교대로 연주하는 것. 호남풍물에서 쓰이는 말이다.
      • 짠지패 : 경기·충청풍물에서 쓰이는 말로 풍물꾼이라는 뜻.
      • 쩍쩍이 : 경기도 풍물굿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일명 쩍쩍이. 조금 느린 박자가 3개 모여서 한 리듬 악구를 이루는데, 첫 장단은 징을 3점치고, 둘째·셋째 장단은 첫 박에 1점만 치기 때문에 오채라 부르기도 한다. 무동(舞童)을 어깨 위에 세우고 추는 춤인 동리(동고리)에 쓰이는 가락이란 뜻이다.

      [차] 위로

      • 채상모(채상) : 종이로 가늘고 길게 채 모양으로 만든 상모를 채상모라 부른다. 채상모는 법고잡이가 쓴다.
      • 채상모놀이(채상놀이) : 법고잡이들이 판굿에서 채상모를 이리저리 돌리며 춤추는 놀이. 쇠잡이의 부포놀이와 같이 일사, 양사, 사사, 산치기, 돛대세우기 등과 같은 놀이가 있다. 연봉놀이, 용솟음과 같은 놀이는 채상모놀음에 없다.
      • 챗손 : 꽹과리를 잡는 오른손.
      • 천륭굿(뒤안굿) : 집안에 있는 텃주가리 앞에서 치는 고사춤.
      • 치배 : 풍물구성원. 풍물꾼.
      • 치복 : 풍물의 의복. 세우고 판을 같게 짜면 손놀림이 함께 움직여 보기에 좋다.

      [카] 위로

      • 콩등지기 : 등 맞추기와 같이 쌍쌍이 등을 대고 서서 교대로 업었다 놓았다하는 놀이.

      [타] 위로

      • 탈복굿·허치자굿: 판굿의 맨 끝에 구호를 부르며 쇠가락을 치는 놀이. 판굿을 끝내고 잠자리에 들기 위하여 옷을 벗는다는 뜻으로 탈복굿이라 한다.

      [파] 위로

      • 판 굿 : 걸립굿이나 남사당패들이 구경군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놀이판에서 치는 풍물. 남사당패는 판굿만을 치며 걸립패는 걸립하는 사이에 치고, 특히 밤에 마을 사람들에게 구경시키기 위하여 모닥불을 피우고 판굿을 친다. 판굿은 잡이들이 이리저리 열을 지어 움직이는 놀이를 먼저하고 한두 잡이들이 장기를 자랑하는 놀이를 나중에 한다. 앞에 것을 진법놀이, 뒤에 이것을 개인놀이라 부르기도 한다.
      • 퍼넘기기 : 상모를 양사로 돌리다가 부포상을 세웠다가 뉘었다 하는 재주. 이쪽에 뉘었다가 세웠다가 저쪽에 뉘었는가 하면, 마치 물건을 이쪽에서 저쪽으로 퍼넘기는 것 같다고 해서 퍼넘기기라 한다.
      • 풍물 : 풍악에 쓰이는 기물, 즉 풍물에 쓰이는 악기와 기구를 가리킨다. 일명 '굿물'이라 부른다. 풍물을 연주하는 것을 '풍물친다'고 한다.
      • 풍악 : 풍물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으나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 풍장 : 풍악과 같은 말로 풍물을 가리키던 말.

      [하] 위로

      • 허궁잡이(자반뒤지기) : 연풍대와 같이 좌우로 도는 춤사위. 몸을 공중에 날려 비스듬히 도는 춤사위이다.
      • 협률사 : 구한말에 창설도니 극장 이름. 1902년 가을, 고종 등극 40주년을 맞이하여 칭경예식(稱慶禮式)을 거행하기 위해서 건립한 극장.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궁내부(宮內府)에 협률사(協律司)라는 직제를 설치가고 주무에 장봉환을 임명하여 칭경둁메식을 위해 기생·재인 등을 교습시켰다. 협률사는 그 뒤에 일반 오락기관으로 바뀌면서 명칭도 애초의 희대(戱臺)는 사라지고 협률사극장으로 불리다가 나중에는 통칭 협률사(協律司)로 불렀다. 위치는 그 당시 봉상사(奉常寺)의 일부로서 현재 새문안교회 뒷켠이다. 당시 이곳에서 상연하뎐 것은 춘향가·심청가·흥부가 등의 판소리를 비롯해서 기샹의 가무 등이었다. 국창 박기홍과 김창환·이동백·송만갑이 중심이 되어 공연하다가 1907년 궁재구락부가 들어서고 건물 명칭도 원각사(圓覺寺)로 바뀌면서 주로 지방공연을 전전하다가 1914년 이후 없어졌다.
      • 호도래기 : 장구를 빠른 가락으로 치는 것. 호남풍물에서 쓰이는 말이다.
      • 호미씻이(호미걸이, 술매기, 파접하기) : 7월 백중날을 전후해 날을 잡아 두레패들이 음식을 장만하고 풍물치며 즐기는 놀이. 김매기가 끝나 호미를 씻어둔다 하여 호미씻이 또는 호미걸이라 부른다.
      • 호적 : 작은 나팔. 새납·태평소 또는 날라리·어산이라 하기도 한다.
      • 호호굿 : 판굿에서 쇠가락 사이에 한 박자를 쉬며 '호호'하고 구호를 부르는 놀이. 호호굿에는 호호굿초두, 호호굿, 자진호호굿 등이 있다.
      • 홑박 : 원박(原拍)치기
      • 화복 : 풍물의 의복.
      • 화주(化主,花主) : 풍물단의 총무 또는 중계자.
      • 흔들치기 : 상모를 이리저리 흔들어 돌리는 재주.
      • 흘림 당산굿 : 간단하게 약식으로 치는 가락. 주로 호남풍물 에서 쓰이고 있다.


    • 출처 : 풍물 사전
      글쓴이 : 소리S2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