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의춤 한국의 춤은 몸과 마음으로 상대방을 높이고, 하늘에 경배하는 ‘예(禮)’의 정신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하니 춤 자체가 몸과 마음의 수행과정이라 아니 할 수 없다. 2. 본살풀이 살풀이는 우리 춤의 움직임이나 드러나는 선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춤이다. 음악은 무속음악의 장단에서 가져온 것이고 그 이름도 살을 푼다는 의미가 있어 무속과 연결될 수 있지만 우리 춤의 정신과 내용을 모두 담고 있는 기본적인 춤이다. 3. 태평무 인간의 염원은 행복이 가득한 삶의 평화에 있다. 앞의 모든 춤들의 바램 역시 그러하다. 그 삶의 평화 중에도 큰 평화인 태평(太平), 바로 크게 평화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의 춤이 태평무(太平舞)다! 4. 진도북춤 전남 진도는 우리나라 민속춤의 보고라 불릴 만치 다양한 춤들이 전승, 보전되어오고 있다. 원래 농악의 부분으로 공연되어 오던 이 북춤은 인간문화재 박병천 선생님이 다양하고 새롭게 안무한 작품이다. 다른 지역의 북춤이 북채 하나만을 사용하지만 진도에서는 양채북으로 양쪽을 두드려 다양한 리듬과 멋과 흥을 통하여 변화된 구성으로 재구성하였다. 5. 승무 한국의 만년의 역사를 꿰뚫는 삶의 몸짓은 ‘승무(僧舞)’라는 춤으로 상징화된다. | |||
|
'국악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요의 빠르기와 민요의 종류 (0) | 2008.09.27 |
---|---|
민요의 음계 구조 (0) | 2008.09.10 |
설장구 사용법: (메는 법과 치는 법) (0) | 2007.10.19 |
음악적요소 기경결해起輕結解란 무엇인가? (0) | 2007.09.04 |
쑥대머리 단어해석 (0) | 2007.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