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일 [역사속 오늘] 1) 미 컬럼바인고교 총기사고, 15명 사망(1999) 1999년 오늘 오전 11시30분.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근교 컬럼바인 고등학교! 검정 코트 차림의 괴한 2명이 총을 들고 식당으로 들이닥쳐 총을 쐈다. 점심시간을 맞아 학생들이 모여든 식당은 순간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이들은 식당은 물론 도서관과 복도, 심.. 역사.문화유산 2006.04.22
4월 19일 [역사 속 오늘] 1)김정일-후진타오 첫 정상회담(2004) 2004년 오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3박 4일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했다. 김 위원장은 베이징 중난 하이(中南海)에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사람은 가장 먼저 교착상태에 놓여있던 6자회담과 북한핵 문제를 주요 의제로 논의했다... 역사.문화유산 2006.04.22
4월 17일 [역사 속 오늘] 1) 이시영 초대 부통령 사망(1953) 1953년 오늘 ! 우리 나라의 초대 부통령 성재 이시영 선생이 84살을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이시영 선생은 1885년 사마시에 급제해 처음 관직에 나섰다. 1908년 한성재판소장, 고등법원 판사 등을 역임했다. 1910년 일본에 국권을 빼앗기자 만주로 망명한 뒤 신흥강습소를 설.. 역사.문화유산 2006.04.22
4월 16일 [역사속 오늘] 1) 3.1민족대표 오세창 타계(1953)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위창 오세창 선생이 1953년 오늘 타계했다. 위창은 6·25전쟁중 대구에서 숨졌다. 장례식은 사회장으로 치러졌다. 위창은 조선말기 개화사상의 선각자이며 서화가인 부친 오경석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한성순보 기자로 .. 역사.문화유산 2006.04.17
한국 지페의 변천사 한국 지폐 변천사, 1902년부터...2005년까지 일본 제일은행과 은행권... 1878년 부산에 지점을 낸 일본 제일은행은 개항장을 중심으로 일본화폐를 조선에 유통시킴으로써 조선에 대한 화폐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다. 이들은 1902년에 조선정부의 허락없이 제일은행권을 발행하기도 했다. 1902년 발행된 구권(.. 역사.문화유산 2006.04.16
태극기가 포함하고 있는 뜻(절대상식) 기 평 면 화 백 의 색 정 은 신 태 단 극 일 원 의 형 정 은 신 청 창 홍 조 음 의 양 정 은 신 건 무 곤 궁 양 의 괘 정 는 신 이 광 감 명 양 의 괘 정 은 신 태극 도형은 반만년 역사속에 우리 민족과 함께 숨쉬어온 정신적 상징입니다. 1. 태극도형은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음. 2. 태극기로는 이조시대 어기.. 역사.문화유산 2006.04.15
4월15일 [역사속 오늘] 1) 노무현 대통령, 수교 후 첫 터키방문(2005) 2005년 오늘, 노무현 대통령이 1957년 수교 후 우리나라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터키를 공식 방문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세제르 대통령, 에르도안 총리와 잇따라 회담을 갖고 경제교류와 투자증진, 정보기술, 방위산업분야 등 양국간 실질 협력관계 강화 방.. 역사.문화유산 2006.04.15
4월 14일 [역사속 오늘] 1) 타이타닉호 빙산 충돌(1912) 1912년 오늘 밤 11시 40분! 영국의 호화여객선 타이타닉호가 뉴펀들랜드 해역에서 빙산과 충돌했다. 타이타닉호는 충돌 2시간 40분 만에 침몰했다. 이 사고로 승선자 2,208명 가운데 1513명이 숨졌다. 영국 사우스햄프턴항을 떠나 뉴욕으로 처녀항해에 나선 배가 사상 최대의 해.. 역사.문화유산 2006.04.14
4월 13일 [역사속 오늘] 1)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1919) 1919년 오늘,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독립됐다.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등이 각료로 임명됐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45년 8.15광복까지 상하이와 항저우, 광둥, 충칭 등으로 청사를 옮기며 광복운동을 .. 역사.문화유산 2006.04.13
4월 12일 [역사속 오늘] 1) 고속열차(KTX) 첫 선(2002) 2002년 오늘, 경부고속철도에 투입될 국산 1호 고속열차 KTX 13호가 첫 선을 보였다. 고속열차 제작사인 로템이 프랑스 알스톰의 기술지원을 받아 1998년 10월 제작에 들어간 뒤 3년6개월 만에 열차조립을 완료했다. 국산 1호 고속열차 KTX는 동력차 4량, 동력객차 16량 등 20량 1편성,.. 역사.문화유산 2006.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