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1일 [역사속 오늘] 1) 신미양요, 미국 함대 풍도에 정박(1871) 1871년 오늘, 미 해병 등 군사 천2백여 명을 태운 미국 아시아함대 소속 군함 5척이 지금의 경기도 안산 대부도 인근에 있는 섬 '풍도'에 들어와 정박한다. 바로 신미양요의 시작이었다. 미군은 닷새 후인 5월 26일 인천 월미도 근처에 있는, 지금은 '작약도'로 불리.. 역사.문화유산 2006.05.21
5월 20일 [역사 속 오늘] 1)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사형 확정(1980) 1980년 오늘!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 즉 10.26사건을 일으킨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에 대해 대법원이 사형을 확정한다. 김 씨는 1979년 10월 26일 밤 서울 궁정동 만찬회 석상에서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경호실장을 권총으로 쏴 사살했다. 사건발생 40일 만인 1.. 역사.문화유산 2006.05.20
5월 19일 [역사 속 오늘] 1) 4·19순국학도 합동위령제(1960) 민주주의 수호에 목숨을 바친 4.19혁명 순국학도들에 대한 합동위령제가 1960년 오늘 서울운동장에서 유가족과 학생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헌화로 가득한 제단에 46명의 위패와 영정이 안치됐다. 고인이 된 학우들의 영전에 학도대표가 추도사를 바쳤다. 이날 정.. 역사.문화유산 2006.05.19
5월 18일 [역사 속 오늘] 1) 5.18민주화운동(1980) 1980년 오늘 아침, 신군부의 비상계엄 전국 확대 조치로 휴교령이 내려진 전남대 교문에서 계엄군이 등교하는 학생들을 막았다. 계엄군은 학생들이 항의하자 메가폰을 통해 해산을 종용하다 학생들에게 돌진해 곤봉을 휘둘렀다. 부상한 학생들이 계엄군의 포악한 진압을 알리기 .. 역사.문화유산 2006.05.18
5월 16일 [역사속 오늘] 1) 5.16군사정변(1961) 1961년 오늘 새벽 5.16군사정변이 일어났다. 제2군 부사령관인 박정희 소장은 육군사관학교 8기 출신 장교들과 사병 3천5백여 명을 이끌고 중앙청과 중앙방송국 등 서울에 있는 주요 기관을 일시에 접수했다. 새벽 5시, 서울 중앙방송국 당직 아나운서가 박정희 소장의 요구대로 6개 항.. 역사.문화유산 2006.05.16
5월 15일[ 역사속 오늘] 1) 제3대 대통령 선거 (1956) 1956년 오늘 실시된 제3대 대통령선거에서 현직 대통령인 이승만 후보가 당선됐다. 이승만 후보는 유효표 가운데 70%인 504만6천여표를 얻어 초대와 제2대에 이어 3선에 성공했다. 민주당 공천으로 출마했던 신익희 후보는 당선이 유력했지만 선거기간 중 갑자기 타계했다. 선거.. 역사.문화유산 2006.05.15
5월 14일 [역사속 오늘] 1) 조명하 의사, 일본 육군대장 저격(1928) 1928년 오늘! 타이완 타이중시[臺中市] 역전에서 조명하 의사가 거사를 일으켰다. 거사의 대상은 일본왕 히로히토의 장인이자 일본 육군대장인 구니노미야 구니히코[久邇宮邦彦]! 조 의사는 환영 인파 속에 숨어 있다 타이완 주둔 일본군을 검열하러 온 구니노.. 역사.문화유산 2006.05.14
5월 12일 [역사 속 오늘] 1) 한국 첫 텔레비전방송 개국(1956) 1956년 오늘! 우리 나라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인 HLKZ-TV가 발족했다. 한국의 첫 상업방송이기도 한 HLKZ는 아시아에서 네 번째, 세계에서는 열다섯 번째로 TV전파를 발사했다. 카메라 2대로 출발한 HLKZ는 출력 0.1kW에 9번 채널로 하루 2시간씩 방송했다. 이때 시중에 설치된.. 역사.문화유산 2006.05.12
5월 10일 [역사속 오늘] 1) 5.10 제헌국회의원 선거(1948) 1948년 오늘! 우리 나라 제헌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된다. UN한국임시위원단의 감시 아래 남한만의 단독총선거로 치러졌다. 투표권은 만21살 이상, 피선거권은 만25살 이상의 모든 국민에게 주어졌다. 95.5%의 높은 투표율을 보인 이 선거에서 모두 200개 선거구 가운데 제주도 2.. 역사.문화유산 2006.05.10
5월 9일 [역사속 오늘] 5월 9일 1) 제6차 남북 적십자 회담(1973) 제6차 남북 적십자 회담이 1973년 오늘 서울에서 열린다. 남측은 남북으로 흩어진 가족들의 생사 여부와 주소 확인을 선행할 것을 제안했다. 북측은 반공법, 국가보안법 철폐, 반공기관 해산 등 남한의 모든 법률적,사회적 장애를 먼저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역사.문화유산 200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