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이론

[스크랩] 시나위 유래

土譚 2005. 12. 28. 08:44
육자배기토리로 된 기악곡으로 연주자들의 즉흥성이 많이 요구되는 음악이다.
전라도 지방을 비롯하여 경기도 남부·충청도 서부·경상도 서남부 지방 등에서 굿노래(巫歌)의 반주나, 굿춤(巫舞)의 반주로 연주되는 음악이며 연주내용은 호남지방의 남도계면조 음악이 중심이다.
시나위의 어원은 신라의 사뇌(詞腦)이고, 사뇌는 토속음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시나위가 신라 때부터 전해오는 음악은 아니다.
무대에서 감상용 음악으로 연주되는 시나위 합주는 많은 시나위 가락에서 어느 정도 미리 짜서 구성한 것으로 중모리·굿거리·중중모리 장단을 중심으로 가락을 구성하며 독주로 연주하기도 하지만 피리·대금·해금·장구, 또는 여기에 가야금·거문고·아쟁·징까지 첨가되기도 하는데 악기 편성은 일정하지 않으며 때로는 구음(口音) 시나위라고 하여 사람의 목소리가 들어가기도 한다.
그래서 오늘날의 시나위는 더욱 풍부한 음향을 가지게 되었다. 시나위를 합주로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는 독주로 연주하기도 하며 오늘날 시나위라고 하면 흔히 감상용 시나위 또는 무용의 반주에 쓰이는 시나위를 말한다.

*특징

시나위 합주에서는 연주자들의 즉흥성이 많이 요구된다.
각 악기들은 육자배기토리와 일정한 장단을 토대로 하여 각자 즉흥적인 음악을 만들어 간다.
그 결과로 각 악기들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은 다성적인 진행이 이루어진다. 무대에서 연주하는 시나위 합주는 그 가락을 미리 구상하여 연습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즉흥음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무대에서 연주하는 경우라도 연주자들이 악보에 의존하지 않으며 미리 짠 가락이라고 하더라도 무대 위에서 연주자들의 기량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주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즉흥적인 음악의 좋은 예가 된다.

무악 반주로서의 시나위 음악은 살풀이·도살풀이·불림·진양·안진반·덩덕궁이·시님장단 등의 장단에 의한 가락을 연주하고 감상을 위한 시나위 또는 춤의 반주를 위한 음악은 살풀이와 덩덕궁이 장단에 의한 가락을 많이 연주한다.

시나위는 판소리 및 산조 음악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각 악기가 불협화음을 이루어 가며 제멋대로 연주하는 듯하면서도 조화를 갖는 점에 묘미가 있다.

음악의 멋 시나위라는 음악은 여러 악기들이 나와 동시에 각자 자기의 '이야기'를 해가는 음악이다. 그래서 서양음악에 훈련된 사람이 들으면 마치 '불협화음'처럼 들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 불협화음 속의 화음이 우리음악의 큰 특징 중 하나다. -최종민-
독주이면서 합주가 되는 시나위는 본래 독주였다고 생각되는 음악양식이다. 장단이라는 큰 질서 속에서 각 악기의 자연적 흐름을 작은 질서로 하여 합주가 이루어지는데, 합주 속의 개인은 완전히 자유로운 질서로 움직이지만 전체는 하나가 되는 것이다. ...
시나위는 소리가 크고 거칠다. 여러 악기는 각각의 선율을 가지고 진행한다. 학습된 고정 선율이 아니라 경험된 자율선율의 진행이다. 여러 악기의 선율음은 불협화음을 남긴다. 불협화음이면서도 불협화음으로 느껴지지 않는 것, 불협화음이면서도 불협화음에서오는 거부감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시나위이다. ...어떻게 보면, 각각의 개인 질서가 전체를 파괴할 것 같지만 정반대로 전체 속에서 개인의 질서가 융화되고 있는 것이다.
음정과 리듬이 다른 각각의 선율이지만 그 자유를 큰 질서인 장단이 포용하므로써 시나위합주라는 별개의 음악양식을 만들게 된다. -이성천-

각각의 선율이 각각의 취향대로 가고 싶은 길을 가게 한다.
완벽한 자유주의다. 그렇지만 묘하게도 일정한 한계를 벗어나는 법이 없다. 말하자면 '논어'에서 얘기하는 '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 不踰矩)'의 달통한 경지라 할 수 있다. -한명희-

시나위는 한마디로 말하자면 연주자 각자가 '제멋대로 가는' 합주음악이다. 장단과 조라는 최소한의 약속만 정해놓고 연주자는 그 속에서 최대한의 자유를 구가한다. ...
그 제멋대로의 움직임은 민족 고유의 감성이라는 보다 커다란 용광로 속에서 용해되어 더 말할 나위 없는 조화의 극치를 이루어낸다는 이 역설적인 미학은 인위적인 조화에 익숙한 서양사람들은 이해할 수 없는 우리만의 독특한 예술체험방식이다. -진회숙-
출처 : 시나위 유래
글쓴이 : 소리 내사랑 원글보기
메모 :

'국악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득음과판소리  (0) 2006.03.17
국악 교육의 필요성  (0) 2006.03.17
민요이론  (0) 2005.12.28
[스크랩] 풍물의 왕은 징이다2  (0) 2005.12.27
[스크랩] 국악이 신음하고 있다.  (0) 2005.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