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제23대 순조 천주교 탄압의 서곡 순조는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다. 그러자 영조의 계비이며 대왕대비인 정 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었다. 정순왕후는 사도세자의 죽음에 찬동하였던 벽파의 실세 김귀주의 누이로 벽파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물불을 안가리는 인물이었다. 옥새를 거머쥔 정순왕후는 우선 친.. 역사.문화유산 2008.10.12
조선왕조 제22대 정조 '세도'의 유래 정조는 세손 시절부터 줄곧 그를 경호하던 홍국영을 동부승지로 전격 기용했다가 다시 도승지로 승격시켰으며 날랜 병사들을 뽑아 숙위소를 창설하여 왕궁을 호위하게 하고 홍국영으로 하여금 숙위대장을 겸직하도록 했다. 그러나 정조의 신임을 한몸에 받은 홍국영은 실권을 장악하.. 역사.문화유산 2008.10.01
조선왕조 제21대 영조 임인옥사와 연잉군의 자구책 왕과 백성들의 신임을 얻어 입지를 다진 소론은 대리청정에 앞장섰던 노론 4대신을 탄핵하 여 귀양을 보내 는 신축옥사를 일으켰다. 그리고 이 기세를 몰아 이듬 해에는 남인 목호룡을 매수하여 노론측 일부 인사가 경종의 시 해를 도모했다는 고변을 하게 해 임인옥사를 .. 역사.문화유산 2008.10.01
조선왕조 제20대 경종 경종이 후사가 없는 이유 희빈 장씨는 사약을 받으면서 마지막으 로 아들을 보고 싶다고 숙종에게 애원하게 되는데 숙종은 처음에는 이 를 거절하다가 결국 인정에 끌려 그녀의 청을 들어주게 된다. 하지만 막상 세자를 그 자리에 데려다 놓았을 때에 돌발적인 사태가 터지고 말았다. 장씨는 자신의 .. 역사.문화유산 2008.09.23
조선왕조 제19대 숙종 남인중심으로의 변화 숙종은 예론 정쟁이 발발하자 즉각적 으로 부왕의 의견에 따라 남인의 장자부 기년설을 지지하면서 송시열 을 유배시 켜버렸다. 그것을 기화로 서인의 세력이 약해지고 남인이 대거 등용되어 조정은 남인에 의해 장악된다. 그러나 기호 세력의 유 생들이 집결하고 있던 성균관을.. 역사.문화유산 2008.09.23
조선왕조 제18대 현종 남인과 서인의 예론정쟁 효종이 죽자 인조의 계비 자의대비(장렬왕후 조씨)가 어떤 상복을 입어야 하 는가 하는 문제가 정쟁화되었다. 이무렵 조선 조정은 인조반정으로 정 권을 장악한 서인 세력과 인조의 중립에 정책으로 기용된 남인 세력으 로 양분 되어 있었다. 인조, 효종 대에 남인은 주로 영남.. 역사.문화유산 2008.09.23
조선왕조 제17대 효종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볼 모생활에서의 차이 소현세자는 서양 신부 아담 샬과 사귀면서 천주교를 알았 고, 또한 서양의 과학 문명에 눈을 떴다. 아담 샬은 그에 게 천주상 과 서양의 역서 및 과학서들을 선물로 주었고, 그 덕택으로 소현세자 는 서양의 역법에 심취하게 되었다. 그는 동양과 서양의 .. 역사.문화유산 2008.09.22
조선왕조 제16대 인조 능양군의 무력정변의 배경 인빈 김 씨와 그녀의 소생들을 총애했던 선조였지만 임진왜란과 그밖의 여러가 지 이유로 광해군에게 세자자리에서 밀린 인빈김씨와 그녀의 소생들 은 항상 불만을 갖고있었다. 후에 광해군이 왕권강화 차원에서 그녀 의 소생중에 가장 위험한 존재로 지목했던 신성군의 .. 역사.문화유산 2008.09.22
조선왕조 제15대 광해군 세자책봉의 음모와 정철 의 퇴출 1591년, 좌의정 정철은 우의정 유성룡, 영의정 이산해, 대 사헌 이해수, 부제학 이성중 등과 세자 책봉 문제를 놓 고 심각한 논 의를 벌였다. 그리고 논의 결과 광해군을 세자로 옹립하기로 결정하 고 선조에게 주청을 올리기로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음모가 진행되 .. 역사.문화유산 2008.09.22
조선왕조 제14대 선조 즉위초의 평화 즉위 초 년에는 오로지 학문에 정진하고 매일 경연에 나가 정치와 경사를 토론 하였으며, 제자백가서 대부분을 섭렵하였다. 이에 따라 성리학적 왕 도 정치의 신봉자가 되었으며, 정계에서 훈구, 척신 세력을 모두 밀어 내고 사림의 명사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또한 당시 성리학의 거두.. 역사.문화유산 2008.09.17